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소비 확산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계 10곳중 9곳은 업황에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정부 지원정책 미흡과 기술 및 투자자금부족을 호소했으며, 법 개정 및 규제완화·투자보조금 지급 등이 유용한 지원방안이 될 것으로 꼽았다.
‘부정’ 응답에서는 백화점·대형마트 등 도소매업체들이 과반 이상(53.1%)을 차지했으며, ‘긍정’ 응답에서는 정보통신 등 업체들 비중(27.3%)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업종별로 보면 운수 및 창고업(94.4%), 도소매업(90.6%), 숙박음식점업(89.7%),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72.7%)에서 부정 답변 비율이, 정보통신업(75.0%)에서 긍정 답변 비율이 각각 많았다.
비대면 소비 확산이 서비스업 고용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서는 고용이 10~30%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31.6%를, 2년이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52.6%(1년 이내 27.2%, 1~2년 이내 25.4%)를 차지하는 등 줄어들 것이란 답변(58.2%)이 우세했다. 다만 큰 변화가 없을 것(38.8%)이란 응답도 많았다.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답한 비율은 3.0%에 그쳤다.
응답업체의 63%는 비대면 소비확산에 대해 이미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해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중점 추진과제로는 정보통신(IT) 등 관련 인프라투자(27.0%)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어 신사업 모델 개발(21.5%), 서비스 공정 혁신(17.1%), 내부직원 교육(14.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어려움으로는 정부의 지원정책 미흡(24.0%)과 기술 역량 부족과 투자자금 부족(각각 22.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 개정 및 규제완화(37.2%)와 투자 관련 보조금 지급(30.6%), 세제 혜택(21.3%) 등이 유용한 지원방안이 될 것으로 봤다.
이밖에도 금융 및 보험업계에서도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업황 악화 가능성을 우려하는 답변(68.3%)이 우세했다.
한편, 비대면·비접촉 소비의 대표적 소비행태인 온라인쇼핑 거래액의 올 2~7월중 평균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30.3%로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21.7%)과 2019년(22.2%)에 비해 증가한 바 있다.
송두석 한은 지역협력실장은 “코로나19 때문에 이동이 제한되면서 소비자들이 지갑을 여는데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위기의식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번 설문은 강남지역본부를 제외한 한은 15개 지역본부가 8월12일부터 9월2일까지 전국 291개 업체(비금융 197개, 금융 및 보험업 94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로, 조사대상 업체 중 205개 업체(부분 응답 포함)(비금융 166개, 금융 39개)가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