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달 27일부터 농협, 우체국, 약국 등을 공적판매처로 지정해 매일 500만 장 규모의 마스크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했지만 4일 차인 1일까지 준비한 물량이 일찍 소진돼 미처 구매하지 못한 소비자들의 원성이 커지고 있다. 뒤늦게 문재인 대통령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을 불러 마스크 공급 대책 관련 긴급 보고를 받고 마스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최우선으로 강구하라고 질타하고 나섰지만 당분간 제대로 공급이 이뤄지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공적판매처마다 다른 마스크 가격과 판매방식도 문제로 지적된다. 우체국은 장당 800원, 1인당 5매씩 판매하고 있지만, 농협은 830원에서 2050원까지 판매가격이 다양하고 1인당 3매에서 5매까지 판매하는 등 지역마다 다르다. 어느 곳은 번호표를 주는 등 체계적으로 판매하지만, 어느 곳은 판매시간은 오후 2시 이전에 매진되는 사례도 있었다. 농협 측은 브랜드와 성능마다 가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농협, 우체국 등 공적판매처끼리 물량 확보를 위해 쟁탈전을 벌이기도 했다. 정부가 공적판매처마다 의무 공급량을 할당했기 때문이다. 정부도 우왕좌왕한 것은 마찬가지다. 27일부터 공적판매가 시작됐지만, 물량이 부족해 마스크 수급이 어렵다는 지적에 부총리가 긴급 브리핑을 열고 사과했다. 28일에도 제대로 판매하는 곳이 없자 정세균 국무총리가 사과했다. 이날 대통령은 이런 보고를 받고 격노했다. 공무원들이 현장에 나가보지 않고 탁상행정을 한 결과다. 현재 국내에서 140여 개 업체의 하루 마스크 총 생산량은 1000만 장 수준이다. 정부는 당일 생산량의 50% 이상을 공적판매처를 통해 팔겠다고 했다. 단순 숫자놀음으로 500만 장 판매를 얘기했지만, 정작 현장 공장의 상황은 숫자대로 돌아가지 않았다.
식약처는 2일 편의점도 공적판매처로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지만, 공급이 안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해결책으로 볼 수는 없다. 일각에서는 공적판매처에서 긴 줄을 서게 하지 말고 각 주민센터에서 직접 나눠주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강남훈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마스크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는 상황에서 대기 시간을 줄이고 한 사람이 다량구매하는 것을 막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