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준으로 주택을 10채 넘게 소유한 집 부자가 3만7487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2012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대다. 또 최근 6년 새 다주택자가 1주택자보다 두 배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통계청이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공개한 ‘2018년 주택소유통계’를 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주택 11채 이상을 소유한 집 부자는 3만7487명으로 전년보다 2.1%(756명) 증가했다.
2012∼2014년 2만 명대였던 주택 11채 이상 소유자는 2015년 3만6205명으로 늘어난 뒤 2016년 3만7193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2017년에 3만6731명으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서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주택을 51채 이상 소유한 사람은 1882명으로 2017년 1988명에 비해 소폭 줄었다. 2012년 949명에 불과했던 주택 51채 이상 소유자는 빠르게 증가해 2015년 2907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6년 2680명, 2017년 1988명, 지난해 1882명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주택을 6~10채 가진 이들은 4만9819명으로 전년보다 2.1%(1045명) 증가했다.
다주택자 수는 2012년 163만1456명에서 지난해 219만1955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증가율 5.7%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1주택자 수는 1040만1342명에서 1181만8335명으로 증가했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2.3%로 다주택자 증가세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처럼 다주택자는 크게 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동산 보유세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낮았다.
OEC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GDP 대비 보유세 비율(Recurrent taxes on immovable, 부동 자산에 대한 반복 과세)은 0.87%로 현재까지 통계를 발표한 OECD 33개국의 평균 1.06%보다 0.19%포인트(P) 낮았다.
다만 지난해 9·13 대책으로 종합부동산세가 강화됐고 12·16 대책을 통해 고가주택과 다주택자의 종부세율과 세 부담 상한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보유세 비율은 상승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