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한국은행 무형연구팀 오삼일 과장 등이 발표한 ‘노동이동(worker flows) 분석“ 고용상태 전환율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실직자가 구직활동을 통해 한달후 취업할 확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2000~2009년) 28.2%에서 금융위기 이후(2010~2018년) 25.6%로 떨어졌다. 취업자가 실직할 확률은 같은기간 1.0%에서 0.8%로 낮아졌다.
전체기간(2000~2018년) 중 고용상태 전환율을 보면 취업자중 0.9%(22만명)는 익월에 실업자로, 2.8%(67만명)는 육아와 가사 등을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로 바뀌었다. 반면, 실업자중 31.6%(28만명)은 익월에 취업자로, 16.9%(15만명)은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했다. 또, 비경제활동인구중 5.5%(84만명)은 익월에 취업자로, 1.8%(28만명)은 실업자로 바뀌었다.
이같은 노동이동(실업→취업 31.6%, 취업→실업 0.9%)은 프랑스(각각 7.7%, 0.7%)나 독일(각각 6.0%, 0.5%), 이탈리아(각각 4.3%, 0.4%) 등 유럽에 비해서는 활발한 편이나, 미국(각각 56.5%, 3.6%)보다는 경직적인 모습이었다.
한편 장기시계(1986~2018년)에서 실업률 변동을 분석한 결과 실직률(취업→실업)은 실업률 변동의 55%를 설명한 반면, 취직률(실업→취업)은 12%에 그쳤다. 또,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전(1986~1997년) 34%를 설명하던 실직률은 외환위기 이후(2009~2018년) 43%로 높아진 반면, 취직률은 같은기간 29%에서 25%로 떨어졌다.
오삼일 한은 과장은 “실직률이 실업률 변동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경기부진으로 기업이 고용을 조정할 경우 신규 채용을 조정하는 것보다 기존 인력을 조정하는 쪽으로 대응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금융위기 이후 노동이동이 둔화한 것은 취업계수 및 취업유발계수 하락과 경기진폭 둔화 고학력 노동자 증가, 생산설비의 세계화 등 경제구조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며 “노동이동 둔화는 향후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