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들로 위원장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이 화웨이의 ‘전면적인 사면’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화웨이는 계속 미국 상무부의 ‘블랙리스트’에 남을 것”이라며 “다만 상무부는 국가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지 않는다면 미국 기업들이 화웨이에 제품과 기술을 판매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라이선스를 부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전면적인 사면이 아니다”라며 “화웨이에 대한 수출 통제는 지속될 것이며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칠 기업 목록에 남아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폐막 기자회견에서 “미국 첨단기술 기업들이 요청하면 화웨이가 이들 기업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며 “정부가 해당 계획을 전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화당 소속의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대통령이 화웨이를 사실상 무역협상 카드로 쓰려 한다면 의회에서 화웨이에 대한 제재를 법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텔과 퀄컴, 브로드컴 등 미국 반도체 업체 이익을 대변하는 반도체산업협회의 존 뉴퍼 대표는 “무역협상 재개와 추가 관세 보류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화웨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 더 자세한 내용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달 중순 미국 기술에 대한 안보위협을 이유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상무부가 뒤이어 화웨이와 그 계열사 68곳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블랙리스트는 사전 승인을 얻지 못한 미국 기업이 화웨이에 제품을 판매하거나 기술을 이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는 화웨이에 막대한 피해를 줬다. 화웨이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런정페이는 “미국의 제재로 인해 앞으로 2년간 화웨이가 300억 달러(약 35조 원)의 매출 감소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