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보고서] 연준 급격한 자산축소에도 韓 성장률 하락폭 0.014%p에 그쳐

입력 2017-07-3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장기금리도 7bp 내외 상승 그쳐..미 GDP도 불과 0.062%p 하락

미국 연준(Fed)이 급격히 자산축소를 단행하더라도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31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중간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연준이 자산을 축소를 본격화하더라도 국내 경제성장률(GDP)에 미치는 하방압력은 최대 0.014%포인트에 그쳤다. 미국 GDP 역시 2020년 중 최대 0.062%포인트 하락시킬 것으로 봤다.

다만 축소 규모에 따라 영향력이 미치는 기간은 차이를 보였다. 우선 연준이 1조2000억달러를 축소할 경우 우리 경제성장률은 2020년 9월 0.014%포인트까지 하락압력을 받은 후 2022년 3월 플러스로 회복했다. 반면 2조1000억달러어치를 축소하면 2020년 9월부터 2021년 6월까지 4분기 동안 0.014%포인트씩 하방압력을 받은 후 2022년 12월까지도 마이너스 압력을 회복하지 못했다.

연준의 자산축소에 따라 미국 장기금리가 상승하면 국내 장기금리도 오를 개연성이 있다고 봤다. 다만 미국 장기금리가 연평균 12~14bp 상승한다고 가정할 경우 국내 장기금리는 7bp 내외 상승에 그칠 것으로 추정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 6월 FOMC 회의에서 보유자산 축소의 구체적인 방식을 공개하고 경제상황이 예상대로 진전된다면 올해 안에 보유자산 축소를 시작할 방침임을 공표한 바 있다. 다만 기존 보유자산에 대한 공격적 매각이 아닌 만기도래시 재투자를 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또 4조5000억달러에 이르는 보유자산을 금융위기 이전 수준인 9000억달러로 환원시키기보다는 그간 부채항목 증가를 반영해 2조4000억달러 내지 3조3000억달러 수준까지만 감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넷 옐런 연준 의장도 지난 6월 FOMC 기자간담회에서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수행해왔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한은 관계자는 “금융시장의 낙관적인 기대 및 위험추구 성향, 신흥시장국 부채 증가세 등 리스크 요인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글로벌 리스크 지표가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에 근접하는 등 위험추구 성향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향후 예기치 않은 충격 발생시 부정적 영향이 증폭될 소지는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강록도 에드워드 리도 합류…‘냉부해2’가 기대되는 이유 [해시태그]
  • "찐 팬은 아닌데, 앨범은 샀어요!"…요즘 아이돌 앨범, 이렇게 나옵니다 [솔드아웃]
  • 연준, 트럼프 당선에 금리 인하 늦출까…월가 반응은
  • 가계 이어 기업도 돈 빌리기 어려워진다
  • 문제작 '참교육' 뭐길래?…김남길, 출연설에 "검토할 여력 없어" 선 긋기
  • 美 유튜버 소말리, ‘소녀상 모욕’ 사과…진정성은 의문
  • ‘공천개입 의혹’ 명태균 창원지검 출석…“경솔한 언행으로 죄송”
  • 지디도 탄 '사이버트럭'…사고 사진을 머스크가 공유한 이유?
  • 오늘의 상승종목

  • 11.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06,730,000
    • +2.25%
    • 이더리움
    • 4,129,000
    • +3.43%
    • 비트코인 캐시
    • 525,000
    • +0.67%
    • 리플
    • 771
    • +1.05%
    • 솔라나
    • 278,400
    • +2.77%
    • 에이다
    • 618
    • +10.16%
    • 이오스
    • 663
    • +3.11%
    • 트론
    • 225
    • +1.81%
    • 스텔라루멘
    • 141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650
    • +2.22%
    • 체인링크
    • 19,050
    • +9.67%
    • 샌드박스
    • 370
    • +3.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