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국부] 토지자산 규모는 서울(1747.9조), 증가율은 제주(26%)가 넘버원

입력 2017-06-14 16: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비금융자산 중 토지 비중 54.8%..GDP대비 토지자산 비중 4.26배 ‘금융위기 후 최대’

토지자산 규모는 서울이, 증가율은 제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혁신도시와 제주도, 세종시 개발에 따라 비금융자산 중 토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4년부터 상승세로 이어갔다. 또 토지자산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도 금융위기 후 최대치까지 올랐다.

(한국은행, 통계청)
(한국은행, 통계청)
14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국민대차대조표 잠정’ 자료에 따르면 2015년 현재 토지자산은 서울이 1747조9000억원을 기록해 가장 많았다. 이는 전체 토지자산의 26.6%를 차지하는 규모다. 다음으로는 경기(1700조8000억원, 25.9%), 경남(391조3000억원, 6.0%), 경북(341조6000억원, 5.2%), 인천(329조4000억원, 5.0%) 순이었다.

토지자산 증가율로는 2015년 중 제주가 26.0%를 기록해 가장 높게 올랐다. 이어 세종(24.3%), 대구(12.6%), 부산(9.9%)의 상승세가 높았다. 실제 지가상승률을 보면 제주가 7.6%, 세종이 4.6%, 대구가 4.1%, 부산이 3.1%를 기록했다.

토지자산의 수도권 집중도는 완화되는 추세다. 수도권 지역의 토지자산 비중은 2010년 61.4%에서 2015년 57.5%로 줄었다. 토지자산 증가율 역시 수도권은 3.8%에 그쳐 전국 평균 토지자산 증가율(5.8%) 보다 낮았던 반면, 수도권 이외지역은 8.6%를 기록했다. 이는 2012년 세종시가 출범했고, 2013년 이후 부산, 대구, 광주, 전남, 울산, 강원, 충북, 전북, 경북, 경남, 제주 등 지방 혁신도시 개발 등이 이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태형 한은 국민B/S팀장은 “세종 및 혁신도시 등의 기반시설 확충에 따른 토지수요 증가와 부산 동부지역의 관광개발 및 신규아파트 공급 확대 등 일부 지역의 개발사업 진행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토지자산이 비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현재 54.8%를 기록했다. 2013년 53.2%를 기록한 이후 2014년(53.6%)부터 완만히 상승하는 분위기다.

토지자산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도 2016년 현재 4.26배를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4.45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미 결제된 선수입니다"…본격 막 올린 스토브리그, '변수'는 없을까? [이슈크래커]
  • 먹을 사람 없고 귀찮아서…"김장, 안 하고 사 먹어요" [데이터클립]
  • 단독 "살짝 닿았는데 염좌?" 교통사고 경상환자 보험금 지급 제한된다
  • 글로벌 음원의 무차별 확장…안방서 토종 플랫폼 밀어내 [스포티파이 공짜 횡포]
  • 비트코인, 美 대통령 선거에 급상승…7만1000달러 돌파 [Bit코인]
  • 퇴직연금 투자 대세는 ‘ETF’…증권사 새로운 강자로
  • 쿠팡, 3분기 매출 10.6조 ‘역대급’…수익성 개선은 숙제(종합)
  • 단독 공인중개사협회, 이르면 연내 부동산 지수 공표 재개… ‘널뛰기 통계’ 극복할까
  • 오늘의 상승종목

  • 11.06 12:1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02,550,000
    • +8.39%
    • 이더리움
    • 3,586,000
    • +6.89%
    • 비트코인 캐시
    • 507,000
    • +10.43%
    • 리플
    • 737
    • +4.84%
    • 솔라나
    • 250,900
    • +13.53%
    • 에이다
    • 492
    • +7.19%
    • 이오스
    • 613
    • +6.79%
    • 트론
    • 224
    • -1.32%
    • 스텔라루멘
    • 134
    • +6.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500
    • +9.62%
    • 체인링크
    • 16,060
    • +11.45%
    • 샌드박스
    • 346
    • +8.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