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의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최대주주인 산업은행과 함께 출자전환에 나설 전망이다.
특히, 내년 대우조선의 수주량과 소난골 인도, 방산 부문 분할 등의 이행 상황에 따라 기존 4조2000억 원 외 추가 유동성 지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은은 대주주 차등감자를 전제로 한 유상증자 및 출자전환 등의 자본확충을 연내 진행할 계획이다.
여기에 수은도 약 1조 원가량 출자전환에 나서 대우조선의 자본확충에 일정 부분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수은은 대우조선에 대한 2조3483억 원가량의 대출여신을 보유하고 있다.
대우조선은 올해 상반기 1조1894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부채 비율은 7000%를 넘어섰다. 연내 자본확충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 한국거래소 상장폐지를 면할 수 없게 된다.
수은 관계자는 “대우조선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이 있다 하더라도 유동성 지원의 신규자금 지원은 아니고 출자전환 형태”라고 강조했다.
홍영표 수은 전무 역시 “대우조선 자본잠식 상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출자전환이 검토되고 있다”며 “수은의 참여 규모 등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자본확충을 통해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한다 하더라도 내년 경영 및 영업 상황에 따라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덕훈 수은 행장 역시 11일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를 통해 “내년부터 유동성 문제가 심각해져 이 부분을 고민해 봐야 할 것”이라면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희망퇴직 1000명 규모 이상의 구조조정이 진행돼야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조선업황이 악화하면서 수주절벽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내년 유동성 위기설에 힘을 싣는 부분이다. 채권단은 대우조선의 수주 달성 규모를 기존 100억 달러에서 60억 달러로 낮추고, 최근에는 워스트케이스인 30억 달러까지 대폭 하향 조정한 상황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내년 대우조선 수주 상황이 개선되고 소난골 드릴십 인도를 완료한 뒤, 방산 부문까지 분할하면 유동성 위기는 없다”면서도 “이 부분들을 해결하지 못할 경우 유동성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우조선이 내년에 상환해야 할 회사채 규모만 약 1조 원에 달한다. 당장 내년 4월 4400억 원 규모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며, 7월과 11월 각각 3000억 원, 2000억 원의 회사채 만기가 도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