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이투데이가 한신평, 한기평, 나이스 등 3대 신평사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9월 말 기준으로 연초 대비 등급이 하향 조정된 기업은 131개로 집계됐다.
3대 신평사의 유효등급 기업은 총 1145개사로, 이의 10%가 넘는 수치다. 반대로 등급이 올라간 기업은 26곳(2.27%)에 불과했다.
등급하향은 주로 신평가가 투자 적격등급으로 분류하는 투자등급(AAA~BBB)에서 나타났다.
한신평은 1~9월 투자등급에서 36개사의 등급을 하향했다. 전체 등급 하향 기업 수는 45개로 작년 연간 등급하향 기업 수 41개를 이미 넘어섰다. 한기평과 나이스가 투자등급에서 신용등급을 하향한 기업은 각각 30개, 46개사로 집계됐다.
이에 등급상하향배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상하향배율이 1보다 크면 등급이 상향조정된 기업이 많다는 것을, 1보다 작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한신평의 등급상하향배율은 0.22배로, 2008년 0.70배보다 세 배 이상 낮아졌고, 한기평 역시 200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인 0.18배로 나타났다.
무차별적 등급하향으로 투자등급 내 부도율은 0%를 기록하는 기현상까지 발생했다. 투자등급 부도율 0%는 투자등급을 받고도 부도가 나는 기업이 없다는 얘기다. 가장 이상적인 일이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실제로 2011~2014년 국내 3대 신용평가사의 투자등급 내 부도비율은 0.3~0.6% 수준을 보여왔다. 결국 기업을 제대로 평가했다기보다는 애매한 기업의 등급을 우선 투기등급으로 강등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책임부터 회피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내외 변수 속에 기업들의 상황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신평사는 신속하게 기업의 신용등급을 조정해야 한다. 최근 국내외 경제는 경기 부진, 세계 교역량 감소, 국제유가 하락, G2(미국, 중국) 리스크 등의 불확실성에 휩싸여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용평가는 이 같은 ‘적시성’뿐만 아니라 기업과 투자자에게 신뢰를 주는 ‘지속성’ 혹은 ‘안정성’도 갖춰야 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신평사들은 본인 스스로가 아닌 투자자를 위한 기업 평가를 내려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