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따라잡기] 中위안화 평가절하에 업종별 ‘희비 교차’ …자동차株↑ ㆍ화장품株 ↓

입력 2015-08-12 15: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정부가 12일 이틀 연속 위안화를 전격 평가절하하면서 국내 주식시장에 충격파가 확산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의 수혜가 예상되는 자동차주가 급등하고, 중국 소비 관련주인 화장품주가 급락하는 등 업종별 희비가 엇갈리는 양상이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현대차는 전거래일보다 7000원(5.04%) 상승한 14만 6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현대모비스는 2.42% 오른 21만 5000원에, 기아차는 5.36% 급등한 4만 4200원을 기록했다.

자동차주의 이같은 강세는 위안화 평가절하가 원화 약세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중국외환교역센터는 11일 위안화 가치를 사상 최대폭인 1.86% 기습 인하한데 이어 12일에도 달러위안화 기준 환율을 전날보다 1.62%(0.1008위안) 올린 6.3306위안으로 고시했다.

이에 따라 1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190.8원으로 마감해 전일 종가보다 11.7원 올랐다. 원화 값이 지난 2011년 10월 4일 1194.0원 이후 3년 10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것이다.

자동차 업종은 엔화의 추가 약세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돼 이번 상황에서 대표적인 수혜주로 부각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반면 화장품주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 이날 아모레퍼시픽은 전일보다 6.23% 하락한 37만 6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아모레G는 2.05% 내린 19만 1000원에, LG생화건강은 3.26% 떨어진 80만 2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화장품주는 중국시장 매출 비중이 높은데 위안화 약세는 중국에서 수입하는 국내산 화장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거란 우려다.

현대증권 곽병열 연구원은 “위안화 절하는 곧 중국 수요둔화를 일정부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단기적으로는 중국 소비관련 성장주인 화장품, 음식료, 의류의 약세국면이 나타날 것으로 경계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현 국면에서는 원화약세의 수혜주 및 중국 현지생산 체제를 갖춘 자동차-IT가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수조원'로 쏟았는데…AI 빅테크, 미생ㆍ완생 딜레마 [AI, 거품론 vs 수익화]
  • 에스파→염정아 이어 임영웅까지…이들이 '촌스러움'을 즐기는 이유 [이슈크래커]
  • 중고거래 판매자·구매자 모두 "안전결제 필요" [데이터클립]
  • 법조계 판도 흔드는 ‘AI’…美선 변호사 월급 좌지우지 [로펌, AI에 미래 걸다 ②]
  • “HBM3는 시작 했는데”…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E’ 공급은 언제될까
  • 배드민턴협회장, 선수단과 따로 귀국…대표팀 감독은 '침묵' [파리올림픽]
  • 'NEW' 피프티 피프티로 돌아온다…키나 포함 5인조로 9월 20일 전격 컴백
  • 음주 전동킥보드 혐의…BTS 슈가 "여지가 없는 제 책임, 머리 숙여 사과"
  • 오늘의 상승종목

  • 08.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0,049,000
    • +0.34%
    • 이더리움
    • 3,422,000
    • -4.55%
    • 비트코인 캐시
    • 447,100
    • -2.04%
    • 리플
    • 712
    • -2.2%
    • 솔라나
    • 211,600
    • +3.32%
    • 에이다
    • 465
    • -1.69%
    • 이오스
    • 636
    • -3.64%
    • 트론
    • 176
    • +0.57%
    • 스텔라루멘
    • 135
    • +4.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050
    • +2.71%
    • 체인링크
    • 13,920
    • -4.72%
    • 샌드박스
    • 344
    • -2.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