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어디로]롯데家 제사회동 임박, 신 총괄회장 셋째동생도 입국…누구에게 유리?

입력 2015-07-31 16: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 전 부회장 측 가족 다수 속에 형제 모친 중재 역할 기대

신격호 총괄회장의 셋째 동생인 신선호 산사스 회장이 입국하면서 경영권 다툼이 벌어진 이후 롯데家의 가족 회동이 전격적으로 성사될 전망이다. 27일 출국했던 신격호 총괄회장과 장녀 신영자 이사장이 28일 귀국했고, 29일에는 장남 신동주 전 부회장이 돌아왔다. 30일에는 형제의 친모 시게미쓰 하츠코(88)씨가 입국했다.

하지만 이날 오후 귀국할 것으로 예상됐던 신동빈 회장이 제사에 참여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가족회의는 오히려 반(反) 신동빈 가족 모임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신 사장은 신동주 전 부회장과 함께 일본 롯데홀딩스에서 신동빈 롯데 회장의 해임에 함께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의 둘째부인이자 신동주, 신동빈 형제의 어머니인 시게미쓰 하쓰코(重光初子) 여사가 30일 오후 서울 강서구 공항동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뉴시스)
그가 이번 가족회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건 한·일 롯데그룹 지분을 전혀갖고 있지 않으면서도 비교적 신 총괄회장의 신뢰가 높기 때문이다.

신 사장은 일본 롯데 재직 시절 롯데리아를 키운 것으로도 유명하다.

신 사장은 친형제인 신춘호, 신준호 회장들과 달리 신 총괄회장과 법정싸움을 하지 않은 유일한 동생이다. 이 때문에 신 총괄회장으로부터 신임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경영권 분쟁에서 누구 편을 드느냐에 따라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그는 31일 오후 김포공항에 입국하면서 신 총괄회장이 정상적인 판단이 가능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네 그럼요”라고 대답했다. 신 동빈 회장과 롯데그룹 측이 “고령에 따른 판단 능력이 흐릿할 수 있다”는 것과 는 반대대는 언급이다.

이 때문에 롯데그룹 주변에서는 신 사장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에 맞서 조카인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을 적극 후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신 전 부회장의 쿠데타 시도를 위한 일본행도 적극 추진했고 동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롯데일가의 반대편에 홀로 서 있는 신 회장은 이날 예약했던 항공편을 취소하고 귀국 일정을 연기했다. 전 가족이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는 대타협의 기회가 날아간 만큼 경영권 분쟁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재계 관계자는 “왕좌 자리를 놓고 그룹의 갈등이 신동빈 회장 대 그룹일가 구도로 흘러가고 있어 자칫 제사를 빌미로 이번 모임이 반 신동빈 전선이 더욱 공고화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이번 모임에서 형제의 모친이 중재자 역할로 나서며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시게미쓰 하츠코씨는 신동빈 회장 쪽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로서는 신 총괄회장을 설득할 수 있는 몇명 안되는 인물인 만큼 역할이 기대된다. 롯데그룹 주변에서는 애초 ‘동주-일본, 동빈-한국’이라는 경영권 분리와 이에 따른 지배구조 개편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 이날 신 총괄회장의 부친인 고 신진수씨의 제사는 롯데호텔에서 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신동주 전 부회장의 서울 성북동 자택에서 열렸으나, 신 총괄회장의 거동이 불편한 데다 롯데호텔 주변에 몰려있는 취재진 때문에 가족 전체가 움직이기 힘들기 때문이다.

▲롯데그룹 신격호 총괄회장이 28일 오후 서울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롯데그룹 2세 후계구도에서 밀려난 신동주 전 일본롯데 부회장이 창업주이자 아버지인 신 총괄회장을 앞세워 '쿠데타'를 시도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태로 신 총괄회장은 한국과 일본 롯데그룹 경영일선에서 사실상 퇴진하게 됐고, 롯데그룹은 신 총괄회장의 차남 신동빈 회장의 2세 경영체제로 전환했다.(사진=연합뉴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374,000
    • +0.79%
    • 이더리움
    • 4,772,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547,000
    • +1.02%
    • 리플
    • 667
    • -0.3%
    • 솔라나
    • 197,700
    • -1%
    • 에이다
    • 546
    • -1.62%
    • 이오스
    • 807
    • -1.47%
    • 트론
    • 177
    • +1.14%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00
    • -1.03%
    • 체인링크
    • 19,220
    • -1.64%
    • 샌드박스
    • 465
    • -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