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신도시 전세가율 80% 돌파…단지 최고 93.21%

입력 2014-10-06 08: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동안 주춤했던 전세가격의 상승이 다시 시작된 가운데 경기도 화성 동탄신도시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80%를 돌파했다. 전국 최고 수준이다.

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화성 동탄신도시의 전세가율은 평균 81.64%로 나타났다. 일부 개별 아파트의 경우 90%를 넘어선 곳도 있다.

동탄신도시 능동 푸른마을 모아미래도는 평균 매매가격이 2억5785만원인데 비해 평균 전셋값은 2억4085만원으로 전세가율이 93.21%에 이른다. 매매가와 전세가 평균 가격 차이가 1700만원에 불과하다.

푸른마을 신일해피트리도 평균 매매가가 2억5961만원, 전세가가 2억3868만원으로 전세가율이 91.71%에 이르고 반송동 시범한빛한화꿈에그린은 전세가율이 88.57%, 능동 숲속마을 모아미래도1단지는 88.04%, 숲속마을 자연앤데시앙은 87.64% 등으로 90%에 육박한다.

이는 같은 2기 신도시인 인근 판교(68.01%)나 광교(59.62%)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높은 것이자 수도권 신도시와 전국 시·군·구를 통틀어 가장 높은 것이다.

이처럼 동탄신도시의 전세가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인근에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와 협력업체가 산재해 전세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이들은 소득이 뒷받침 되는데 인근에 동탄신도시를 대체할 만한 주거지가 없어 수요가 몰리고 있다.

국민은행 조사에 따르면 9월말 현재 화성시의 아파트 매매값은 2012년 초에 비해 4.18% 하락한 반면 전셋값은 14.62%가 오르며 전형적인 '매매 약세, 전세 강세'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전세가율이 단지별로 80∼90%를 넘는 곳이 나오면서 속칭 '깡통아파트' 등장에 따른 세입자들의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한편 동탄에 이어 전세가율이 두번째로 높은 곳은 광주광역시 북구로 80.37%였고 경북 구미시도 80.03%를 기록하며 평균 80%를 넘어섰다.

이어 대구 달서구(79.75%), 광주광역시 광산구(79.68%), 대구 달성군(78.67%), 전남 여수시(78.03%), 광주광역시 남구(78%), 전남 무안군(77.8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의정갈등 물꼬 트나…임현택 의협 회장 압도적 찬성으로 ‘탄핵’
  • 단독 “투자금 못 낸다”...한강리버버스 사업서 발뺀 ‘이크루즈’
  • 백화점 달구는 애니메이션 팝업…아케인vs드래곤볼 한판 대결
  • 포항제철소서 큰 불, 3시간 만에 진화… 1명 부상 [종합]
  • '이강인 2골 1도움' PSG, 앙제에 4-2 승리…홈 팬들 물통 투척 '눈살'
  • 공모주 시장, 날씨보다 춥네…상장 첫날부터 주가 ‘곤두박질’
  • 네카오 실적 갈렸다...카카오 ‘먹구름’ vs 네이버 ‘창사 이래 최대’
  • 중간 성적 17%, 보수 심장에선 경고음...임기후반 ‘이것’에 달렸다[尹 임기반환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11.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0,175,000
    • +3.42%
    • 이더리움
    • 4,435,000
    • +4.4%
    • 비트코인 캐시
    • 607,500
    • +13.45%
    • 리플
    • 834
    • +8.74%
    • 솔라나
    • 293,400
    • +5.84%
    • 에이다
    • 826
    • +34.97%
    • 이오스
    • 822
    • +24.92%
    • 트론
    • 230
    • +2.68%
    • 스텔라루멘
    • 154
    • +9.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300
    • +15.16%
    • 체인링크
    • 20,220
    • +7.1%
    • 샌드박스
    • 406
    • +10.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