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의 기가팩토리, 전력산업 지형 바꾼다?

입력 2014-02-26 09: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비싼 전기료 지친 소비자, 배터리로 돌아설 수도

▲테슬라 주가 추이 25일 248달러 출처 블룸버그

미국 전기자동차업체 테슬라모터스가 추진하는 초대형 배터리공장인 ‘기가팩토리’가 전력산업의 지형을 바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테슬라의 옐런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주 실적 발표 당시 ‘기가팩토리’의 구체적인 계획을 이번 주 밝힐 것이라고 전했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보고서에서 “기가팩토리는 테슬라의 글로벌 자동차시장 점유율을 14년 이내에 지금의 두 배로 끌어올릴 것”이라며 “리튬이온배터리를 활용해 에너지저장 비용을 줄이면서 전기자동차는 물론 일반 전력공급시장 진출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낙관했다.

모건스탠리가 테슬라 목표주가를 320달러로 종전보다 25% 이상 상향 조정하면서 회사 주가는 이날 14% 폭등한 248달러를 기록했으며 장중 259.2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테슬라 주가는 지난주 실적 발표 이후 30% 이상 뛰었다.

블룸버그는 미국의 소비자들이 치솟는 전기료 부담에 현지 전력회사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배터리를 통한 전력 사용으로 돌아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소비자가 낮에 태양광발전으로 생산한 전력 여유분을 배터리에 저장해 야간에 사용하는 전력배급 혁명이 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100여년 이상 독점을 누리던 전력업계에 비상이 걸린 셈이다.

현재 미국의 전력시장 규모는 3600억 달러(약 386조원)에 이른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애덤 조나스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는 “테슬라가 배터리팩의 상업화에 성공한다면 투자자들은 더 이상 테슬라를 이전과 같은 회사로 보지 않을 것”이라며 “에너지저장 분야에서 저비용 생산자가 된다면 테슬라는 관련 산업(전력산업)을 붕괴시킬 정도의 중요한 선택권을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NRG에너지의 데이비드 크레인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전력산업이 지금 바뀌지 않으면 몰락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NRG에너지는 지난해 델라웨어대와 손잡고 전기차가 저장한 전력을 다시 전력업체에 되파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술 게임이 빌보드 입성예고…로제 ‘아파트’ 속 한국 술 문화 [해시태그]
  • 금값은 '최고치' 찍고, 비트코인은 '장밋빛 전망'…어디에 투자할까요? [이슈크래커]
  • 요동치는 글로벌 공급망...‘분절화’ 심화에 다각화 절실 [기후가 삼킨 글로벌 공급망]
  • MZ가 칼퇴한다고요?…"부장님이 더 일찍 퇴근" [데이터클립]
  • 의료계 참여가 성공 관건인데…의무 불이행해도 패널티 없어[편해지는 실손청구]
  • 또다시 밀린 한국시리즈…23일 오후 4시 1차전 서스펜디드 게임으로 재개
  • AI 지각생 카카오의 반격 …제2의 카톡 ‘카나나’로 승부수
  • ‘수익 업고 튀어’…늘어나는 상장사 공개매수, 묘수와 꼼수 사이[공개매수의 이면①]
  • 오늘의 상승종목

  • 10.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404,000
    • -1.15%
    • 이더리움
    • 3,620,000
    • -2.16%
    • 비트코인 캐시
    • 494,500
    • -2.37%
    • 리플
    • 737
    • -3.41%
    • 솔라나
    • 228,800
    • +0.35%
    • 에이다
    • 498
    • +0.2%
    • 이오스
    • 669
    • -1.76%
    • 트론
    • 220
    • +2.33%
    • 스텔라루멘
    • 132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500
    • -2.78%
    • 체인링크
    • 16,640
    • +3.29%
    • 샌드박스
    • 374
    • -3.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