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작년 경제성장률 2.8% …수출·건설업 호조 영향

입력 2014-01-23 09:36 수정 2014-01-23 10: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설비투자 증가율 -1.5% 기록 ...4분기는 0.9% 성장에 그쳐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8%를 기록, 3년 만에 반등했다. 수출과 건설업이 호조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13년 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과 비교해 2.8% 성장했다. 한은이 지난해 초 전망했던 2.8%와 일치했다. 연간 성장률은 2010년 6.3%에서 2011년 3.7%, 2012년 2.0%로 낮아지다가 지난해 높아졌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수출이 견조한 증가를 지속하는 가운데 민간소비가 꾸준히 늘고 건설투자가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출항목별로는 건설투자 증가율이 6.9%로 가장 크게 늘었다. 또한 전년의 -2.2%에서 오름세로 돌아섰다. 수출 증가율은 4.3%로 전년의 4.2%를 웃돌았고, 민간소비 증가율도 1.9%로 전년의 1.7%보다 높아졌다.

다만 설비투자 증가율이 -1.5%로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갔다. 그러나 정 국장은 설비투자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살아나는 모습을 나타냈다고 강조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 성장률이 2.2%에서 3.0%로 높아졌으며, 건설업 성장률도 -1.6%에서 3.7%로 플러스 전환했다. 서비스업 성장률은 2.4%로 2012년의 2.5%보다 조금 낮아졌다. 건설투자 증가율과 건설업 성장률이 플러스를 기록한 것은 모두 4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은 전기비 0.9%로 집계됐다. 분기별 성장률을 보면 지난 2011년 2분기 이후 8분기 연속 0%대를 기록하다가 작년 2분기(1.1%), 3분기(1.1%)에 1%대를 유지했으나 4분기에 다시 0%대를 나타냈다. 정 국장은 “1%대 성장률을 벗어난 것은 국세 수입의 차질로 정부투자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이 개선됨에 따라 실질무역손실 규모가 65조원에서 50조4000억원으로 줄면서 GDP성장률을 크게 상회하는 4.3%를 기록했다.

한편 한은은 지난 9일 올해 한국경제가 상반기 3.9%, 하반기 3.7%로 연간성장률 3.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광복절 특사’ 김경수·조윤선 복권…이동채 前에코프로 회장 사면
  • Z세대 패기로 쓴 '반전 드라마'…안세영 진실공방 '본격 시작'
  • “일본 오지 마세요”…난카이 대지진 공포, 마트 털린 일본 [해시태그]
  • 전기차, 내연기관차보다 화재 사고 많을까? [모빌리티]
  • 언어ㆍ정보 장벽에…외국인 59% '무보험' [200만 보험 사각지대]
  • 벤츠코리아, 배터리셀 제조사 홈페이지 공개… 전기차 무상점검 시행
  • "대지진 14일에 발생한다고?"…日서 발견된 구름에 '괴담'까지 확산
  • 슈가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후폭풍'…탈퇴 화환부터 복무교육 목격담까지
  • 오늘의 상승종목

  • 08.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964,000
    • +1.39%
    • 이더리움
    • 3,721,000
    • +4.17%
    • 비트코인 캐시
    • 488,200
    • +1.77%
    • 리플
    • 797
    • +1.14%
    • 솔라나
    • 204,800
    • +1.94%
    • 에이다
    • 474
    • +2.16%
    • 이오스
    • 698
    • +5.92%
    • 트론
    • 176
    • -1.68%
    • 스텔라루멘
    • 13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500
    • +1.71%
    • 체인링크
    • 14,480
    • +2.99%
    • 샌드박스
    • 367
    • +4.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