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노인복지가 ‘글로벌 에이지와치 지수 2013’에서 세계 91국 중 67위에 머물렀다.
유엔인구기금(UNFPA) 유엔 산하단체들과 국제 노인인권단체인 ‘헬프에이지인터내셔널’이 91국의 노인복지 수준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100점 만점에서 39.9로 67위에 그쳤다.
이는 65위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41.0과 66위인 우크라이나의 40.2보다 낮은 것이다.
한국의 노인복지 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나 선진국과 신흥시장 중심의 주요 20국(G20) 중에서도 하위권에 속했다.
OECD 회원 34국 중에서 한국은 33번째로 터키(70위·38.1)를 간신히 제치고 꼴찌를 면했다.
G20 중에서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국가는 터키와 인도네시아(71위·37.9)·인도(73위·35.0)·러시아(78위·30.8) 등 4국에 불과했다.
한국의 기대수명 등을 포함한 건강 분야 지수는 74.5로 8위에 올랐다. 그러나 연금과 노년 빈곤율 등을 반영한 소득 분야 지수는 8.7에 그쳐 91국 중 90위였다. 소득지수가 한국보다 낮은 국가는 아프가니스탄(2.1)이 유일했다.
한국의 고용·교육 분야 지수는 19위(56.3)였으며 사회적 자립·자유 분야는 35위(68.3)였다.
보고서는 “한국의 뛰어난 경제성장 수준을 고려할 때 노인복지지수가 OECD 국가는 물론 아시아권에서도 최하위권인 점은 놀랍다”면서 “이는 국민연금이 비교적 늦게 도입되는 등의 이유로 노인층 빈곤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인층 빈곤 해결이 한국의 정책입안자들에게 가장 큰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한국은 고령화 속도 역시 전 세계에서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60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12년 기준 전체 인구의 16.7%였으나 2030년에는 31.1%, 2050년에는 38.9%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60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50년 한국보다 높은 나라는 일본(41.5%)과 포르투갈(40.4%) 뿐이었다.
노인복지 수준이 가장 높은 나라는 스웨덴이 꼽혔다. 노인복지 지수는 89.9였다.
스웨덴이 이어 톱5를 차지한 국가는 노르웨이(89.8)·독일(89.3)·네덜란드(88.2)·캐나다(88.0) 순이었다.
스위스(87.9)·뉴질랜드(84.5)·미국(83.8)·이슬란드(79.5) 등 유럽·북미권 국가들이 10위 안에 포함됐다.
노인복지가 가장 열악한 국가는 아프가니스탄(3.3)이었다.
아시아·중동권 국가 23국 중에서는 일본이 10위(83.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이스라엘(21위·70.0)과 중국(35위·57.4)·스리랑카(36위·57.3)가 뒤를 이었다.
지역별 순위에서 한국은 12위로 중간 수준에 머물렀다.
이 지수는 각국의 노인 복지 수준을 나타내는 분야를 크게 소득을 비롯해 건강과 고용·교육, 사회적 자립·자유 등 4가지로 나눠 평가했다.
전 세계 노인들의 삶의 질과 복지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