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고용노동부가 11일 서울가든호텔에서 개최한 ‘2013년 제1차 서울고용포럼’에서는 그동안 청년층의 취업확대와 일자리제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논의된 대안들이 발표됐다.
그는 ‘선취업’과 관련해 “학생들이 노동시장에 이해 그리고 취업과 관련된 스킬을 익히고 노동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돕는 역할이 필요하다”며 “취업지원 업무와 관계된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 “취업지원관들이 정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데 비정규직 등 신분상의 문제가 있다. 정부 차원의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후학습’과 관련해서는 “문턱을 낮추는 등의 작업들이 필요하다”며 “누구에게나 오픈돼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정책과 차별화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이영민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는 “우리나라 뿌리깊은 학력사회가 이어지는 한 선취업 후진학은 제도개선만으로 어렵다”며 “가치관의 전환이 필요하다. 신분상승이나 계층이동을 위해 큰 틀 안에서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재형 농협대학교 교수는 협동조합을 통한 청년 채용 방안을 발표했다. 그는 협동조합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금융·보험 업종에서의 협동조합 허가 △이종간 협동조합 연합회 설립 허가 △각 대학과 대학원의 협동조합 관련 학과 신설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그는 “협동조합에 기본적인 역량들이 있어야 한다”며 “정부 주도로 모든 정책을 수행하다보니 질보다 양적으로 협동조합이 난립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경영역량도 부족하고 자본금도 부족해 가야할 길이 멀다”고 우려했다.
마지막으로 한국노동연구원 임금직무센터 이장원 소장은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를 통한 청년고용 촉진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시간제 일자리란 누구든지 경험할 수 있고 또 빠져나올 수 있어야 한다”며 “시간제 일자리 경험을 토대로 다음 일자리로 갈 수 있다는 연계성이 있을 때 의미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 소장은 “정규직 시간제 일자리가 나와야 하는데 우리사회에서 아주 전문직이 아닌 이상은 없다”며 “더 나은 일자리로 갈 수 있는 찬스가 가장 길게 남아있는 것이 청년이다. 적절한 시간제 일자리를 줄 수 있다면 노동시장에서 인적 자원을 확보해 나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간제 일자리 제도 개선과 관련해 △직무급임금 체계모색 △공공부문에서의 우선적용 △교육훈련확충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