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각 기업의 대관업무팀이 혼란에 빠졌다. 정권 말기에 접어들면서 대정부 협력사업은 답보상태에 머물렀고 대관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수집도 한계에 다다른 상태이기 때문이다.
각 기업의 대관업무팀은 정부와 소통할 수 있는 최전선이자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핵심부서다. 대부분 임원급을 팀장으로 두고, 정부부처 출신을 간부급 사원으로 영입하기도 한다. 그만큼 기업경영에 있어서 대관업무팀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시작하는 전략이 성장동력의 열쇠이기도 하다. 따라서 대관업무의 중요성은 각 정권 교체시기에 더욱 중요하다. 현 정부는 물론 차기 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라 기업의 앞날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기업별 대관업무부서는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정권 말 사정기관의 칼날이 재계를 향하고 있지만 마땅한 대응 전략이나 정보수집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나아가 차기 정부의 조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지만 사전 정보수집이 녹록치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다급해진 일부 기업은 대관업무팀을 보강하기 시작했지만 효과를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5일 검찰은 계열사 부당지원 의혹으로 고발된 정용진(44) 신세계그룹 부회장을 소환조사했다. 정 부회장이 신세계 등이 베이커리 계열사를 지원하는 과정에 관여했는지가 조사의 초점이다.
앞서 SK그룹 최태원 회장과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에 이어 정 부회장의 소환조사는 재계에 긴장감을 불러왔다. 국세청과 감사원, 검찰까지 나서 재계 수장의 과거를 들추는 등 사정기관의 전방위 압박이 시작되면서 각 기업의 대관업무 부서는 부산하다.
대관팀의 관심은 현 정권의 재벌 압박이 여기에서 멈출지, 다음 정권으로 이어질지에 모아진다. 때문에 정보를 모으고 끊임없이 정부와 접촉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보는 신뢰도가 떨어진 상태다. 1급 비밀 수준의 보안이 지켜지고 있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비경제부처 6곳에 대한 1차 조각을 단행한 이후 기업별로 대관업무 강화와 정보 수집에 힘을 쏟았지만 별 효과를 보지 못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기업은 MB 정부시절 환율과 재벌정책 덕에 승승장구했던 이들이다. 전통적으로 정보라인이 활성화돼있는 삼성과 현대차, LG, SK 등은 계열사별로 인수위원회 소식과 정보를 모으고 있지만 “쉽지 않다”는 반응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재계 대관업무 담당자는 “사실상 현정권의 레임덕이 시작되면서 각 기업의 대관업무는 마비된 상태다. 계열사별로 올라오는 정보도 신뢰도가 떨어진다. 당연히 대정부 대응도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