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 신한, KB, 하나, 농협 등 주요은행의 지난해 4분기 기준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113조원으로 1분기 보다 7조원(6%)늘었다. 개인사업자 대출은 법인이 아닌 사업자등록증을 가진 자영업자에 대한 기업자금대출로 중소기업대출에 포함된다.
올해는 은행별로 중소기업 대출서비스 확대를 핵심전략으로 삼는 등 지난해보다 개인사업자 대출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신한은행은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확대를 위해 개인사업자 대출 비중을 전년대비 순증 1조5000억원 가량 늘릴 계획이다. 우리은행도 지난해와 같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지원을 위해 상생협약 미체결 대기업과의 협약을 추진해 개인사업자에 대한 상생대출 지원을 확대 예정이다. 농협은행은 올해 개인사업자 대출 규모를 지난해 대비 3조원 가량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처음으로 개인사업자 대출을 시작한 산업은행도 올해에는 개인사업자 대출을 늘려 나가려는 기본적인 입장을 세웠다.
은행권이 개인사업자에 대한 대출이 확대하고 있는 이유는 마땅한 자금 운용처를 찾지 못해 소호 대출, 가맹점 대출(프랜차이즈론) 등을 내세워 개인사업자를 집중 공략에 나선 탓이 크다. 일부에선 제로 마진은 물론 역마진까지 감수하며 대출 고객 잡기에 나서 등 유례없이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은행권에선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억제하면서 개인사업자 대출 확대가 불가피 한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또 중소기업 대출의 역마진을 메울 대안으로 은행들이 담보가 확실한 개인사업자에 눈을 돌리고 있다는 것이다. 우량 중소기업이 많지 않다보니 금리를 최대한 낮추며 출혈 경쟁 또한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때문에 역마진을 감수한 개인사업자 대출이 늘수록 은행 건전성은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 불황이 길어지면서 개인사업자의 폐업이 속출할 수 있고, 이들에게 돈을 빌려준 은행들이 연체율 상승으로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 역시 지난해 이 같은 상황을 우려해 리스크 관리를 주문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현재 개인사업자 대출의 상당 부문이 부동산·임대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경기민감업종에 집중된 것”이라며 “이에 지난해 10월부터 시중은행에 특정업종을 늘리지 않도록 지도하고 경영성과평가(KPI)에 해당 업종 대출은 가산점을 제한하는 등 실적에 반영토록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