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에세이]걸어서 가는 과거여행 ‘서울 성곽길’

입력 2012-11-30 11: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선 근대화의 흔적 오롯이… 최근 복원 트레킹 코스 인기

▲북악산 성곽길은 축성의 변화 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코스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도 제주 올레길 못지않은 트레킹 코스가 있다. 자연, 그리고 서울의 600년 역사를 동반 삼아 걸을 수 있는 ‘서울 성곽길’이 그곳이다.

서울 성곽길은 ‘역사 순례’라 해도 좋을 정도로 600년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서민들의 삶이 그대로 녹아 있다. 600년 서울의 삶을 품어온 성곽길에는 낙산공원, 와룡공원, 삼청공원, 남산공원 등 10곳이 넘는 녹지공원과 국보 1호 숭례문, 보물 1호 흥인문을 포함해 170개에 달하는 문화재가 성곽을 따라 산재돼 있다.

▲낙산공원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야경.
한양 성곽의 역사는 태조 4년(1395년) 도성 축조의 명을 받은 정도전이 서울의 내사산(內四山)인 동쪽의 낙산, 서쪽의 인왕, 남쪽의 목멱(남산), 북쪽의 백악(북악산)을 실측하고, 이 네 산을 연결하는 성터를 정하면서 시작됐다. 이 방대하고 시급한 사업을 농한기에 완성하기 위해 이듬해 정월부터 11만8000명이 동원돼 시작된 공사는 1396년 숭례문을 시작으로 다음해 4월에는 홍인문의 옹성이 완공되며 끝났다. 그후 27년이 지난 세종 4년에는 전국에서 약 32만명의 인부와 2200명의 기술자들이 동원돼 흙으로 쌓은 성곽 일부를 모두 돌로 바꿨다.

▲성균관대학교 후문 와룡공원에서부터 시작한 북악산 성곽길은 가파르지도 않고 새소리가 끊이지 않는, 하이킹하기에 딱 알맞은 산책길이다.
당시 한양의 인구가 약 10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규모의 공사였다. 그러나 한양 성곽은 일제 때인 1915년 근대화에 방해가 된다는 명분으로 크게 훼손됐다. 그 뒤 서울시가 1975년 복원계획을 수립해 2.570km를 복원했으며, 현재 5개 구간 11.56km의 구간이 복원 중에 있다.

▲한성대역에서 올라 처음 만나는 낙산공원 성곽탐방로 입구.
성곽이 끊어진 탓에 과거처럼 하루 일정으로 성곽길을 다 돌아보는 것은 어렵다. 성곽길은 동서남북 네 개의 산 주변을 따라 크게 4개 코스로 나뉘어 있다. 코스마다 진출입로까지의 접근이 쉬워 위치와 상황에 따라 코스를 선택하면 된다. 작심하고 종주할 목적이 아니라면 1,2개 코스를 연계해 걷는 게 건강과 함께 마음도 풍요로워지는 1석2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성곽길 탐방과 함께 보너스로 즐길 수 있는 광화문 야경.
서울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그 속의 사람들까지 서울 성곽길을 걷다 보면 많은 생각과 감정이 오간다. 그 옛날 이 성곽을 쌓기까지 얼마나 많은 백성들의 노고가 있었을지, 상상만으로도 고개가 절로 숙여진다. 요 며칠 초겨울 한파가 계속된다고 한다. 날이 좀 풀리면 가족이나 연인과 함께 마치 소풍을 가듯 시간여행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580,000
    • +1.08%
    • 이더리움
    • 4,765,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549,500
    • +2.04%
    • 리플
    • 666
    • -0.45%
    • 솔라나
    • 197,500
    • -1.5%
    • 에이다
    • 542
    • -2.52%
    • 이오스
    • 802
    • -1.47%
    • 트론
    • 177
    • +0.57%
    • 스텔라루멘
    • 12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1.19%
    • 체인링크
    • 19,130
    • -1.85%
    • 샌드박스
    • 463
    • -2.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