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대형화' 열풍]"전기 먹는 하마 안돼"…절전기술 총력전

입력 2012-07-30 09: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커질수록 전력 소비 늘어…TV·냉장고에 신기술 적용

덩치를 키운 가전제품들이 절전 기술을 탑재해 출시되고 있다. TV, 냉장고 등 생활가전 제품들은 대형화와 동시에 전력 소비 또한 늘어나 절전 기술이 동반되지 않으면 반쪽짜리 성공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가전업체들은 ‘제품 대형화’에 집중하는 만큼 ‘절전 기술’에도 신경을 쏟고 있다.

냉장고는 제품의 구조 및 냉각기 탑재를 통해 전력소비를 줄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출시한 최대용량 900L ‘지펠 T9000’은 T자 형태를 적용, 4개의 도어를 갖췄다. 소비자들의 사용패턴에 따라 냉장실, 와이드 상(上)냉장, 서랍식 하(下)냉동 시스템으로 나눔으로써 필요한 문만 열어 음식을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초고효율 단열재를 사용해 외부 열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했다. 이 제품은 전력효율이 38.6 kw/h로 한 달 기준 2870원 수준의 전기요금만 내면 사용할 수 있다.

LG전자가 출시예정인 910L 세계 최대 용량 디오스 냉장고는 제품에 미니냉장고 ‘매직 스페이스’를 적용해 사용 편의성 및 전기료 절감 효과라는 두 마리 토기를 잡았다. 사용자가 냉장고 문 전체를 열지 않아도 자주 먹는 음료수 및 반찬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실제 하루에 ‘매직 스페이스’를 20회 사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월 전기료를 5~10% 가량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전력소모와 에너지 손실을 줄인 직선운동으로 작동하는 리니어 컴프레서를 탑재해 효율성을 더욱 높였다.

TV의 경우도 전기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적용했다. 과거 브라운관(CRT) TV 대신 발광다이오드(LED)패널을 이용, 전력소모량을 3배 이상 줄였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TV 제조업체들은 대형 제품에도 LED 패널은 채용해 소·중형 제품과 대형 제품의 소비전력 차이를 줄였다. 46인치 LED TV과 55인치 LED TV의 소비전력은 각각 82W, 90W로 9인치 차이가 나지만 소비전력은 단 8W 차이뿐이다.

TV 제조업체들은 더 나아가 전력 소비량이 액정표시장치(LCD)의 15~20%에 불과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이용한 55인치 대형 TV를 출시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휴대폰의 경우 5인치대 대형 제품이 나오면서 배터리 기술도 함께 발전하고 있듯이 TV 등의 가전제품도 대형화 추세에 따라 제품 출시 시 전력 소비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개발해 채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젠지 열광한 '원사이즈' 옷 가게, 한국서도 성공할까? [솔드아웃]
  • 킥보드냐 스쿠터냐…BTS 슈가가 받게 될 ‘음주운전 처벌’은? [해시태그]
  • 판매대금 지연·빼가기가 관행? 구영배 근자감이 火 자초 [제2의 티메프 사태 막자]
  • 에스파→염정아 이어 임영웅까지…이들이 '촌스러움'을 즐기는 이유 [이슈크래커]
  • 커지는 전기차 포비아…화재 보상 사각지대 해소는 '깜깜이'
  • ‘침체 공포’ 진화 나선 월가 거물들…다이먼도 닥터둠도 “美 침체 안빠졌다”
  • '10살 연상연하' 한지민-잔나비 최정훈, 열애 사실 인정 [공식]
  • 박태준, 58㎏급 '금빛 발차기'…16년 만에 남자 태권도 우승 [파리올림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8.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3,585,000
    • +6.68%
    • 이더리움
    • 3,623,000
    • +8.15%
    • 비트코인 캐시
    • 469,900
    • +5.6%
    • 리플
    • 875
    • +22.04%
    • 솔라나
    • 220,600
    • +7.14%
    • 에이다
    • 479
    • +5.27%
    • 이오스
    • 666
    • +6.05%
    • 트론
    • 178
    • +0%
    • 스텔라루멘
    • 142
    • +5.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700
    • +9.47%
    • 체인링크
    • 14,490
    • +5.84%
    • 샌드박스
    • 359
    • +6.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