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② 자동차-대부분 반조립 수출, 르노삼성만 철퇴

입력 2010-09-09 11:17 수정 2010-09-09 11: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관세동맹 4국은 1500~1800cc 수입차에 한해 차값의 10%였던 관세율을 30%로 대폭 인상했다. 또 중공업기계는 이전 무관세에서 신제품의 경우 25%, 중고품은 30%의 관세율를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관세율의 인상 및 신규 적용으로 국내 관련업체들의 수출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게 됐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4개국 가운데 러시아 '타가즈사 타간로크' 공장에서 현대차를 CKD 방식으로 조립하고 있다"고 밝히고 "러시아 측의 완성차 수입관세가 높아 CKD 수출에 주력하고 러시아 공장 본격 가동을 준비 중이어서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차는 올 상반기 아반떼와 투싼 등 3만563대를 러시아에 수출했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해 1년(2만5301대) 실적을 이미 뛰어넘어 섬으로써 향후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즈베키스탄(122대)과 벨라루스(187대)에는 상대적으로 수출물량이 적지만 향후 단계적으로 시장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

또 기아차는 쏘울과 스포티지 등을 중심으로 러시아에서 올 상반기 완성차 수출 3만456대를 비롯해 해외공장 수출 2만3745대를 기록했다.

GM대우도 우즈베키스탄 등에 전략 생산거점을 두고 이곳에 반조립 부품수출(CKD)형태의 사업을 주력하고 있어 큰 타격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2008년 3월 설립한 GM우즈베키스탄을 통해 현재 윈스톰과 토스카, 마티즈, 라세티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다. 규모는 2008년 약 19만대, 2009년 약 20만대다.

쌍용차 역시 4개국 가운데 러시아 수출만 이뤄지고 있다. 지난 6월 러시아 솔레스사(사)와 2017년까지 16만대 장기공급계약을 맺는 등 동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에 주력하고 있다. 해당지역 수출 전량은 반조립 부품수출 형태로 이뤄져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 자동차업체 중 현지공장이 없는 르노삼성은 SM3(구형)와 QM5 등 완성차를 '르노'브랜드로 수출하고 있어 수출전망이 어두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7일 푸틴 러시아 총리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로 생산이 중단된 기아차 이즈아프토 공장을 방문 생산재개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정말 지독한 상성…'최강야구' 동국대 2차전 결과는?
  • 뉴진스 하니·한강 패러디까지…"쏟아지는 '복붙' 예능, 이젠 피로해요" [이슈크래커]
  • 요동치는 글로벌 공급망...‘분절화’ 심화에 다각화 절실 [기후가 삼킨 글로벌 공급망]
  • 2025년 최고의 갓성비 여행지 10곳은? [데이터클립]
  • 의료계 참여가 성공 관건인데…의무 불이행해도 패널티 없어[편해지는 실손청구]
  • 단독 ‘친환경 표방’ 대형마트 리필 매장, ‘처치곤란 실패작’ 전락
  • BTS 제이홉 시구 예고…KBO 한국시리즈 2차전, 우천취소될까?
  • 비트코인, 변동성 커졌다…다시 6만7000달러 선으로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10.22 12: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432,000
    • -1.27%
    • 이더리움
    • 3,621,000
    • -2.69%
    • 비트코인 캐시
    • 499,100
    • -1.07%
    • 리플
    • 745
    • +0%
    • 솔라나
    • 227,700
    • -0.83%
    • 에이다
    • 499
    • +0.2%
    • 이오스
    • 673
    • -1.17%
    • 트론
    • 216
    • +1.89%
    • 스텔라루멘
    • 131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150
    • -2.61%
    • 체인링크
    • 16,230
    • +0.81%
    • 샌드박스
    • 377
    • -2.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