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족병 '통풍' 70대 남성 노인층서 가장 많아

입력 2009-07-09 10: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매년 13% 증가...남성이 여성보다 9배 이상 많아

'염증성 다발성 관절병증'의 하나로서 귀족병으로 알려진 '통풍'이 70대 노인 남성층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풍은 혈액중 요산의 농도가 짙어지면서 관절, 인대에 염증성 관절염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다리, 발가락, 발목 등의 관절이 심하게 부어오르고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통풍질환’의 실 진료환자수가 2001년 8만2천명에서 2005년 13만7천명, 2008년 19만5천명으로 나타나 연평균 13%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실진료환자수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남성이 17만6천명이었고 여성은 1만9천명으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보다 9배 이상 많았고, 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가 각각 4만7천명과 4만8천명으로 전체 진료환자의 48.5%를 차지했다.

연령대별 실진료환자수는 10만명당 ▲70대 남성이 2079명으로 최고였고, 뒤를 이어 ▲60대 남성 1859명 ▲50대 남성 1434명 ▲40대 남성 991명 ▲30대 남성 609명 순으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통풍 실진료환자수가 해마다 가장 큰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70대이상 노인층으로서 최근 8년동안 70대는 연평균 18.5%, 80대이상은 연평균 24.7%씩 증가했다.

통풍에 의한 건강보험 진료비 역시 해마다 늘어나 2001년 125억원에서 2005년 198억원, 2008년 317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공단이 부담한 통풍 급여비는 모두 216억원으로 약국 96억원, 외래 91억원, 입원 29억원 순이었다.

일산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찬희 교수는 “통풍 급성기에는 움직임을 줄이거나 염증완화를 위한 약제(소염진통제, 콜키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며, 만성기에는 요산저하제를 사용하기도 한다.”면서 “통풍은 성인병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요산이 높은 음식과 기름진 음식을 피하는 것이 무엇보다 좋고, 특히 맥주는 요산의 원료가 들어있으므로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수조원'로 쏟았는데…AI 빅테크, 미생ㆍ완생 딜레마 [AI, 거품론 vs 수익화]
  • 에스파→염정아 이어 임영웅까지…이들이 '촌스러움'을 즐기는 이유 [이슈크래커]
  • 중고거래 판매자·구매자 모두 "안전결제 필요" [데이터클립]
  • 법조계 판도 흔드는 ‘AI’…美선 변호사 월급 좌지우지 [로펌, AI에 미래 걸다 ②]
  • “HBM3는 시작 했는데”…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E’ 공급은 언제될까
  • 배드민턴협회장, 선수단과 따로 귀국…대표팀 감독은 '침묵' [파리올림픽]
  • 'NEW' 피프티 피프티로 돌아온다…키나 포함 5인조로 9월 20일 전격 컴백
  • 음주 전동킥보드 혐의…BTS 슈가 "여지가 없는 제 책임, 머리 숙여 사과"
  • 오늘의 상승종목

  • 08.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358,000
    • -2.2%
    • 이더리움
    • 3,339,000
    • -5.57%
    • 비트코인 캐시
    • 446,900
    • -1.24%
    • 리플
    • 866
    • +19.78%
    • 솔라나
    • 206,100
    • -1.01%
    • 에이다
    • 460
    • -2.13%
    • 이오스
    • 636
    • -3.05%
    • 트론
    • 177
    • +0.57%
    • 스텔라루멘
    • 141
    • +6.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200
    • +1.78%
    • 체인링크
    • 13,650
    • -4.68%
    • 샌드박스
    • 337
    • -4.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