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한반도 안보 상황 엄중…안보 태세에 만전" 지시[종합]

입력 2024-06-24 15: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은 24일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 상황이 엄중하므로 안보 태세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 살포와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 외교 등으로 한반도 일대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된 데 대한 대응 강화를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홍보수석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는 러북조약과 중동사태 등이 미칠 군사 및 경제안보에 관해 확고한 대비 태세를 유지하라는 뜻이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었다. 북한과 러시아 중 한 쪽이 전쟁상태에 처하면 지체 없이 군사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을 담으면서 북러가 28년 만에 사실상 동맹으로 돌아갔다는 평가가 나왔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 관련 정부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 관련 정부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러 관계가 군사동맹 수준으로 격상됐다고 본 우리 정부는 "엄중한 우려를 표하며 이를 규탄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특히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기존 방침을 재검토하겠다고 맞불을 놨고, 이에 푸틴 대통령은 "(한국의) 큰 실수가 될 것"이라며 "북한에 대한 초정밀 무기 공급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경고해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대통령실은 러시아의 움직임에 따라 우리의 대응 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재차 강조했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23일 "러시아가 고도의 정밀 무기를 북한에 준다고 하면 우리에게 더 이상 어떤 선이 있겠는가"라고 강경 발언을 이어갔다.

또 한러 관계에 대해선 "최근 러시아의 동향은 조금씩 레드라인에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였다"며 "(우크라이나) 전쟁 후 한러 관계를 복원 발전시키고 싶으면 러시아 측이 심사숙고하라는 말씀을 다시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18,000
    • +0.38%
    • 이더리움
    • 4,747,000
    • -0.38%
    • 비트코인 캐시
    • 540,000
    • +0.09%
    • 리플
    • 664
    • -0.45%
    • 솔라나
    • 195,100
    • -1.76%
    • 에이다
    • 538
    • -3.58%
    • 이오스
    • 793
    • -3.29%
    • 트론
    • 177
    • +0.57%
    • 스텔라루멘
    • 128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100
    • -2.94%
    • 체인링크
    • 19,040
    • -3.2%
    • 샌드박스
    • 457
    • -3.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