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車 산업, 내수 부진하지만…수출액 역대 최대 전망

입력 2024-06-23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AMA, ‘2024 자동차 산업 평가’ 보고서 발표
상반기, 내수 부진에도 수출 호조로 수출 증가
하반기에도 비슷…역대 최대 수출액 기록 전망

▲울산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야적장에 차량들이 출고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울산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야적장에 차량들이 출고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국내 자동차 산업이 하반기에도 내수 감소, 수출 호조를 이어가며 역대 최대 수출액(부품 수출 포함)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23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자동차 산업 상반기 평가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상반기 자동차 산업 동향은 내수는 경기 부진으로 감소세, 수출은 북미 시장의 수요 확대로 증가세를 보였다.

내수의 경우 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 고금리 유지로 신차 구매 의향이 감소 추세를 보였다. 또한 전기차 판매 저조, 소형 상용 LPG 전환기 수요 둔화, 전년 동기 호황에 따른 역 기저효과 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7% 줄어든 80만 대가 판매될 것으로 추정된다.

수출은 지난해 상반기 높은 실적에도 불구, 최대 수출시장인 북미시장으로의 국산 완성차 판매 호조가 지속되어 ’23년 동기간 대비 2.7% 증가한 150만대로 추정된다. 완성차 수출액은 고부가가치 제품인 하이브리드 및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수출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4.4% 늘어난 372억 달러로 예상된다.

상반기 전체 생산은 내수 부진, 전년 동기 실적에 따른 역 기저효과 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감소한 216만 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올해 하반기 국내 자동차 시장은 경기 부진 지속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돼 신규수요를 제한하지만 글로벌 주요 시장의 견조한 성장으로 내수는 감소세, 수출은 소폭 증가, 생산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반기 내수는 신차(오로라1, 스포티지 부분변경 등) 출시에도 소비 심리 위축이 지속돼 지난해 하반기보다 0.9% 줄어든 84만 대가 팔릴 것으로 보인다. 수출은 역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유럽 시장의 수요 정상화, 북미 시장의 견조한 성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늘어난 140만 대가 예상된다.

하반기 생산은 경기 부진 지속에 따른 수요 위축에도 불구, 부품 공급망 불안정 해소에 따른 가동률 상승과 견조한 글로벌 수요를 바탕으로 한 수출 호조세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 증가한 208만대로 전망된다.

아울러 보고서는 2024년 연간으로는 내수가 전년 대비 5.9% 감소한 165만 대, 수출은 전년 대비 3.4% 증가한 286만 대, 연간 완성차 수출액은 전년 대비 5.4% 증가한 약 747억 달러로 전망(부품 포함 시 980억 달러)했다. 생산은 전년 대비 0.1% 감소한 424만대로 예상된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상반기 국내 시장은 고물가와 고금리의 장기화로 인해 민간 소비 여력이 약화해 내수 감소가 지속되었고 하반기에도 금리인하 시점이 불투명해지며 가계대출로 인한 소비심리위축이 이어져 자동차와 같은 내구재의 소비축소가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내수 위축으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성장 동력이 약화하지 않도록 노후차 교체지원과 개별소비세 인하, 전기․ 수소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친환경차의 세액 감면 연장과 같은 내수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강 회장은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희망적인 것은 올해 우리나라의 자동차 수출이 국내 완성차 및 부품기업의 노력과 정부의 적극적 수출 확대를 위한 지원정책으로 인해 역대 최대 수출액인 약 98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이해인, 성추행 논란에 "연인 사이였다" 주장…피해 선수 측 "정신과 치료 중"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787,000
    • +0.95%
    • 이더리움
    • 4,854,000
    • +1.93%
    • 비트코인 캐시
    • 548,500
    • +3.78%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9,900
    • +8.7%
    • 에이다
    • 550
    • +1.1%
    • 이오스
    • 828
    • +1.97%
    • 트론
    • 172
    • -0.58%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150
    • +1.66%
    • 체인링크
    • 20,220
    • +2.9%
    • 샌드박스
    • 479
    • +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