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운열 신임 한공회장 “우리나라 회계 투명성 지수 경제 강국 수준 맞게 올려놓을 것” [종합]

입력 2024-06-19 16:09 수정 2024-06-19 16: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운열 한국공인회계사회 신임 회장 (사진=박상인 기자)
▲최운열 한국공인회계사회 신임 회장 (사진=박상인 기자)

최운열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47대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에 당선됐다. 최운열 신임 회장은 17일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70회 정기총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나라 회계 투명성 지수가 경제 10위 권 강국에 맞는 수준으로 올라갈 때까지 ‘회계가 바로 서야 경제가 바로 선다’는 구호를 외칠 것”이라는 당선 소감을 밝혔다.

최 신임 회장은 우선 ‘회계 투명성’이 국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기업인들 입장에서 보면 비용이 올라가 힘들다는 부분은 이해된다”라면서도 “외부감사 비용이 기업가치를 올리는 투자라는 생각을 서로가 공유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 그는 “우리 경제가 어려운 국면에 있어 창업 및 투자 활성화가 되어야 하는데, 규제 개혁이 전제 조건”이라면서 “그러나 규제 당국이나 NGO 등에서 규제 완화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갖는 가장 큰 이유가 기업의 회계 투명성을 믿을 수 없다는 데 있어 규제 완화를 위해서라도 회계 투명성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가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 중 하나로 기업의 회계감사 부담을 낮추기 위해 지정감사제 면제 제도를 검토 중인데, 최 신임 회장은 이를 두고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 완전히 거꾸로 가는 것이라면서 밸류업이 아니라 ‘밸류다운’으로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신임 회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핵심 원인 중 지배구조의 후진성과 회계의 불투명성은 기업의 마이크로한 문제”라면서 “지배구조와 회계 투명성은 ‘and’로 가는 개념이지 ‘or’로 가는 개념이 아니다. 이를 동시에 개선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당국과 소통하겠다고 했다. 최 신임회장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는 서너 번 만나 잘 아는 사이”라면서 “(이 원장이) 법조계에 계실 때도 기업의 회계 투명성에 대해서 저보다도 더 문제의식이 강하신 것으로 알고 있다. 만나서 말씀 나누면 앞으로 공감대가 더 넓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했다.

최 신임 회장은 신외감법에 대해서도 소신을 밝혔다. 그는 “선거 운동 과정에서 왜 신외감법이 당분간 지속해야 하는지, 신외감법 시행 과정에서 법안 취지와 다르게 운영되면서 파생된 문제가 무엇인지 등을 잘 파악했다”라며 “우리 회계 투명성 지수가 10대 경제강국 격에 걸맞은 수준으로 향상될 때까지 신외감법은 유지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취임을 시작하자마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한국회계학회와 공동연구를 통해 ‘회계기본법’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도 밝혔다.

한편, 최 신임 회장은 1950년생으로 서울대 경영학과를 나왔다. 1971년 회계사 시험에 합격해 30년 동안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을 지냈고 20대 국회에서 민주당 의원직을 수행했다. 최 전 의원은 의원 임기 동안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를 통과시키는 데 상당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이해인, 성추행 논란에 "연인 사이였다" 주장…피해 선수 측 "정신과 치료 중"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751,000
    • +0.97%
    • 이더리움
    • 4,854,000
    • +2%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3.69%
    • 리플
    • 669
    • +0.75%
    • 솔라나
    • 210,400
    • +9.13%
    • 에이다
    • 551
    • +1.47%
    • 이오스
    • 829
    • +2.35%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100
    • +1.67%
    • 체인링크
    • 20,290
    • +3.31%
    • 샌드박스
    • 479
    • +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