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은 연체율 비상…저축은행업계, 상반기에만 부실채권 1조 매각

입력 2024-06-16 08: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PF 정상화펀드 5100억·개인사업자 NPL 1360억 원 등

▲저축은행중앙회 오화경 회장과 임원들이 이달 20일 열린 기자 설명회에서 23년 영업실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 오화경 회장과 임원들이 이달 20일 열린 기자 설명회에서 23년 영업실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업계가 올해 상반기에 약 1조 원 규모의 부실채권 정리에 나선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등에 따라 치솟은 연체율을 잡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이 상반기에 매각을 추진하는 부실채권 규모는 총 1조46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2차 부동산 PF 정상화 펀드 규모가 5100억 원에 이른다. 당초 저축은행업계는 지난 5일 4600억 원 규모로 PF 부실채권 정리를 위한 펀드를 조성했으며 최근 500억 원을 추가했다.

이 펀드 운용은 웰컴저축은행 계열사인 웰컴자산운용이 2800억 원을, 한국투자저축은행 계열사인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이 2300억 원을 각각 맡아 관리한다.

1360억 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개인사업자 부실채권(NPL) 매각도 시행한다.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 사태로 취약차주의 대출 상환이 어려워지자 과잉 추심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 무담보 부실채권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개인사업자 부실채권은 캠코가 운영하는 새출발기금에만 매각하도록 했다.

하지만 캠코가 매입을 독점하게 되면서 매입 가격이 시장 가격에 비해 낮아지자, 매각 측에서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돼왔다.

금융위는 지난해 유동화전문회사에 개인 무담보 부실채권을 매각할 수 있도록 통로를 넓혀주고, 올해에는 개인사업자 채권도 유동화전문회사에 매각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1000억 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 채권을 우리금융F&I에 매각한 데 이어, 이달 1360억 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개인사업자 부실채권은 우리금융F&I·키움F&I·하나F&I 등에 팔기로 했다.

개별업체의 부실채권 대손상각도 3000억 원 정도의 규모로 이뤄질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이처럼 부실채권 총 1조460억원 매각을 이달까지 집행할 계획이다.

이처럼 대규모 부실채권 정리에 나선 이유는 1분기 말 연체율이 8.8%까지 치솟은 데 따른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달 말에는 10%대로 올라설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성 피겨 국가대표, '음주·후배 성추행'…빙상연맹 홈피 접속 불가
  • 줄 서서 사던 '그 가방', 한국에 왔다 [솔드아웃]
  • 모든 것이 뒤집혀 있다?…콘셉트 포토존 '거꾸로하우스' [Z탐사대]
  • 미국 정치 뒤덮는 ‘돈의 쓰나미’...역대 대통령 80%가 백만장자
  • “호캉스 즐기며 와인 한 잔 어때?”[주말엔]
  • 해외 전문가들도 국민연금 걱정…“보험료부터 올려야”
  • 비트코인 떨어지니 알트코인 불장 오나…"밈코인 도미넌스는 하락 중" [Bit코인]
  • 이재명 사퇴 임박인데...어쩌다 눈길은 국민의힘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852,000
    • +0.78%
    • 이더리움
    • 4,937,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0.64%
    • 리플
    • 686
    • -1.01%
    • 솔라나
    • 189,600
    • +1.72%
    • 에이다
    • 533
    • -1.84%
    • 이오스
    • 800
    • -1.96%
    • 트론
    • 169
    • +1.81%
    • 스텔라루멘
    • 128
    • -3.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00
    • +2.1%
    • 체인링크
    • 19,250
    • -6.05%
    • 샌드박스
    • 468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