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원포인트’ 임시회 개최 미지수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에 대한 시의 지원 중단이 하루 남은 가운데 양대 노조가 ‘TBS 폐지 조례안’에 대해 다시 한번 규탄하고 나섰다. TBS는 새로운 인수자를 찾고 있지만 고용 승계 등 여러 문제로 민영화 작업도 순탄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노동조합’과 ‘전국언론노동조합 TBS 지부’는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다음 달 1일 시행되는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폐지 조례안’을 규탄하기 위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앞서 서울시의회는 2022년 TBS에 대한 서울시 재정 지원을 중단한다는 내용의 조례를 통과시킨 바 있다. 이에 다음 달 1일부터는 TBS의 서울시 출연기관 지위가 해제되고 각종 지원이 끊기게 된다. 시는 이달 초 조례 시행일을 9월로 유예한다는 내용의 조례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시의회에서는 논의조차 되지 못했다.
노조는 “TBS는 1990년 개국 이래 서울의 유일한 공영방송사로서 서울시민의 삶의 증진을 위한 미디어의 역할과 책무를 수행해 왔다”라며 “서울시의 지원이 끊기는 6월이면 인건비는 물론 방송통신시설 운영을 위한 전기료조차 낼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본금 단돈 100만 원에 상업광고조차 허용 안 되는 TBS에 지원 조례 폐지는 문을 닫으라는 것과 다름없다”라며 “민영화를 준비할 시간도 여력도 없어 이대로라면 256명 직원의 생계는 물론 하루아침에 서울시민의 시청권마저 소멸하게 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TBS에 남은 시간은 단 하루”라며 “그 시간 안에 원포인트 임시회를 열어 지원 폐지 조례의 시행을 막아달라”고 촉구했다.
시의회가 다음 달 1일 전 ‘원포인트’ 임시회를 열어 조례 개정안을 처리하는 가능성도 점쳐졌지만 현재로선 불투명한 상황이다.
현재 TBS는 민영화 작업을 위해 삼정KPMG를 매각 주관사로 정해 새 투자자를 물색하고 있다. 한겨레신문과 증권 전문 유튜브 채널 등이 인수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지만, 고용 승계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민영화 과정 역시 순탄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