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열풍’ 제대로 올라탄 메이드 인 코리아 [지금은 K-역직구 골든타임]

입력 2024-05-22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외국인 ‘韓’제품 직구 37% 증가
화장품·의류·식음료품 ‘급성장’

▲신세계면세점이 2022년부터 운영 중인 역직구 전문몰 글로벌 배송 서비스  (사진제공=신세계면세점)
▲신세계면세점이 2022년부터 운영 중인 역직구 전문몰 글로벌 배송 서비스 (사진제공=신세계면세점)

'알테쉬(알리ㆍ테무ㆍ쉬인)'로 대표되는 C커머스(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공세가 거센 가운데 국내 온라인몰 등을 통해 한국 제품을 직접구매 하는 외국인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K드라마와 영화, 가요 등 K콘텐츠가 세계적 인기를 끌면서 화장품ㆍ패션 등 메이드 인 코리아(Made in Korea) 제품의 수요 역시 덩달아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제야 겨우 성장의 터닝포인트를 맞은 'K-역직구'가 우리 정부의 해외직구 규제 논란에 주춤하지 말고, 한번 더 성장할 채비를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온라인쇼핑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온라인몰의 해외 직접판매(역직구) 규모는 399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913억 원)보다 37% 늘어났다. 국산 제품에 대한 외국인의 직구 수요가 그만큼 늘었다는 뜻이다. 같은 기간 한국인들의 해외직구 금액(1조6476억 원)과는 큰 격차가 있지만, 성장률만큼은 역직구가 해외직구(1분기 9.4%)를 크게 웃돈다.

외국인들이 한국 이커머스를 통해 구입하는 주상품군을 보면 화장품(2471억 원)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의류 등 패션상품(771억 원)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화장품과 패션상품은 최근 1년 새 판매 규모가 각각 65%, 42% 증가했다. 방탄소년단(BTS) 등 한국을 넘어 전세계가 열광하는 글로벌 가수가 늘면서 음반 등도 주요 역직구 품목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눈여겨 볼 부분은 화장품과 패션 등을 제치고 한국 식음료품(66.9%)이 전년 동기 대비 판매액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품목이라는 점이다.

K-역직구 선호 국가를 구매액으로 보면 △중국(2434억 원) △미국(582억 원) △일본(545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중국 이용객은 상당수가 온라인면세점쇼핑(2251억 원)을 이용하는 반면 미국과 일본은 이커머스 직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구매금액은 미미하나, 미국 중국 외에 기타 아시아(388%)와 아프리카(48%), 아세안(35%) 지역이 K-역직구 매출 성장률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역직구 신장률에 대해 K-콘텐츠(한류) 붐의 긍정적 영향이라고 본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전세계에 걸쳐 한류 붐이 불면서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도 높아졌고, 특히 K뷰티ㆍK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며 "최근 해외에서 품귀현상을 빚어 이슈가 된 불닭볶음면 등 한국 식료품(K푸드) 또한 같은 맥락"이라고 했다.

역직구 수혜 상품은 비단 대기업 제품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미 수 년 전부터 글로벌 이커머스 아마존에선 우리 전통 갓과 포대기, 호미 등의 판매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소상공인진흥공단은 국내 글로벌 진출 역량을 지닌 소상공인을 약 5만6000곳으로 보고, 앞으로도 'K-호미'와 같은 성공 사례를 추가 발굴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633,000
    • +1.19%
    • 이더리움
    • 4,776,000
    • +0.29%
    • 비트코인 캐시
    • 550,500
    • +1.85%
    • 리플
    • 668
    • -0.15%
    • 솔라나
    • 199,000
    • -0.2%
    • 에이다
    • 546
    • -1.44%
    • 이오스
    • 808
    • -0.74%
    • 트론
    • 177
    • +1.14%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300
    • -0.48%
    • 체인링크
    • 19,290
    • -0.92%
    • 샌드박스
    • 463
    • -2.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