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광주에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 제공…고독사 예방

입력 2024-05-14 16: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력데이터와 AI 활용 이상 상황 감지 시 복지 공무원에 알림 메시지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왼쪽 여섯 번째)이 14일 광주광역시청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왼쪽 일곱 번째)과 '전력데이터 활용 고독사 예방 및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전력)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왼쪽 여섯 번째)이 14일 광주광역시청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왼쪽 일곱 번째)과 '전력데이터 활용 고독사 예방 및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전력)

한국전력이 광역자치단체에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를 시작한다.

한전은 14일 광주광역시청에서 광주광역시와 ‘전력데이터 활용 고독사 예방 및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한전이 보유한 전력 사용량 데이터와 인공지능(AI) 분석시스템을 활용한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를 광주시의 복지 업무에 적용해 고독사 고위험군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전과 SK텔레콤 및 KT가 시행 중인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는 가정 내 별도의 기기 설치 없이 원격검침 계량기(AMI)를 통해 수집된 대상자의 전력 사용 데이터와 통신사로부터 수집된 통화 수발신 내역 등의 통신 데이터를 분석해 대상자의 생활패턴을 파악한 후 이상 상황이 감지되면 복지 담당 공무원에게 알림 메시지를 발송하는 서비스다.

지난달 기준 32개 기초지자체에 제공 중이며 현재까지 총 11건의 고독사 예방 실적을 기록했다.

이번 협약으로 한전은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광주시에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광주시는 광산구 등 5개 자치구의 ‘고독사 예방 및 대응체계 구축’ 업무에 이를 활용, 공백 없는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뜻을 같이해 준 광주시에 감사드리며, 보다 많은 국민에게 서비스가 제공돼 사회적 고립 가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으로부터 고독사 고위험군의 안전을 지키고, 국민 편익 증진과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전은 수도 데이터를 추가 연계해 대상자의 위기 상황 예측도를 올리고, 서비스를 발전시켜 국민의 안전과 복지를 증진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342,000
    • +0.65%
    • 이더리움
    • 4,763,000
    • -0.4%
    • 비트코인 캐시
    • 544,000
    • -0.09%
    • 리플
    • 666
    • -0.6%
    • 솔라나
    • 197,300
    • -1.1%
    • 에이다
    • 544
    • -1.98%
    • 이오스
    • 806
    • -2.18%
    • 트론
    • 177
    • +1.14%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00
    • -1.19%
    • 체인링크
    • 19,210
    • -2.29%
    • 샌드박스
    • 464
    • -2.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