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 어디까지…엔화 가치, 작년 10월 이후 최저

입력 2023-11-13 16: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엔·달러 환율 한때 151.80엔까지 상승
33년래 최저치 경신 가능성 커져
미·일 금리차 확대 영향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관계자가 엔화를 정리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관계자가 엔화를 정리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일본 엔화 가치 추락이 멈출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13일 도쿄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한때 151.80엔까지 치솟았다. 미국 달러당 엔화 가치는 지난달 31일 기록한 연중 최저치인 151.74엔을 밑돌고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지난해 10월 기록한 1990년 이후 최저치인 151.95엔 밑으로 떨어져 33년 만의 최저치를 경신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이날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이 환율 개입에 나설 것이라는 경계감 속에서 엔화 저가 매수세가 나타나며 하락세를 제한했다.

최근 엔화 약세는 미국 금리가 오르면서 발생한 미·일 간 금리 차 확대 영향이 크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저금리의 엔화를 팔고 달러 등 고금리 통화를 사는 ‘캐리 트레이딩’이 활성화된 영향으로 풀이했다.

일본의 무역 및 해외 투자와 관련된 자금이 본국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구조적 원인으로 엔화 약세가 보다 장기화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닛케이는 “금리 차뿐 아니라 무역과 투자에 따른 자금 교환도 엔화 약세 요인이 되고 있다”며 “이들 자금이 일본보다 성장 기대감이 더 큰 해외에 머물러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기존에는 엔화 약세가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일본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수출은 늘지 않는 데 반해 수입 물가는 크게 오르는 엔저의 부정적 효과가 더 크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590,000
    • +0.17%
    • 이더리움
    • 4,735,000
    • -0.55%
    • 비트코인 캐시
    • 539,500
    • +0.28%
    • 리플
    • 663
    • -0.6%
    • 솔라나
    • 194,200
    • -1.92%
    • 에이다
    • 537
    • -3.07%
    • 이오스
    • 792
    • -3.53%
    • 트론
    • 177
    • +1.14%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200
    • -2.08%
    • 체인링크
    • 19,020
    • -3.21%
    • 샌드박스
    • 457
    • -3.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