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에서 여객선 운항 정보ㆍ해양 방사능 확인 가능해진다

입력 2023-07-10 14:10 수정 2023-07-10 14: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해수부ㆍ네이버 해양수산 분야 EGS 활성화 MOU

▲해양수산부와 네이버가 10일 해양수산 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기업의 환경·사회·투명경영(ESG)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서 조승환(오른쪽) 해수부 장관과 채선주 네이버 대외·ESG 정책 대표. (사진제공=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와 네이버가 10일 해양수산 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기업의 환경·사회·투명경영(ESG)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서 조승환(오른쪽) 해수부 장관과 채선주 네이버 대외·ESG 정책 대표. (사진제공=해양수산부)
앞으로 네이버에서 여객선 운항 정보와 해양 방사능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해양수산부와 네이버는 10일 해양수산 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기업의 환경·사회·투명경영(ESG)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조승환 해수부 장관과 채선주 네이버 대외·ESG 정책 대표가 참석했다.

이번 MOU를 통해 양측은 △연안여객선 실시간 운항 정보 연동 및 제공 △해양 안전 정보(유해해양생물, 이안류, 방사능, 해수온 등)에 대한 접근성 향상 △해수부 관계기관이 운영하는 대국민 편의 서비스의 ’네이버 아이디 로그인‘ 연동 △그 외 해양환경을 비롯한 해양수산 분야 전반의 서비스 연계 및 정책 홍보 등을 협력키로 했다.

연안여객선 연평균 이용객은 1300만 명에 달하지만, 다른 대중교통과 달리 실시간 운항 정보가 포털 누리집에 나오지 않아 그간 이용에 불편이 있었다.

앞으로 네이버 지도에서 연안여객선 실시간 운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섬 주민·관광객 등 이용객의 편의를 높인다.

또 해양과 관련한 각종 안전정보를 포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해 기후변화로 인한 유해해양생물 증가, 해수온 상승 등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여름철에 안전하게 바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우려가 큰 우리 해역 방사능 농도 등도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바다와 관련된 정보를 좀 더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돼 국민의 편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를 계기로 해양수산 분야의 ESG 활성화에 더욱 많은 기업이 참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이해인, 성추행 논란에 "연인 사이였다" 주장…피해 선수 측 "정신과 치료 중"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09: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849,000
    • +1.15%
    • 이더리움
    • 4,860,000
    • +2.1%
    • 비트코인 캐시
    • 548,000
    • +3.79%
    • 리플
    • 670
    • +1.06%
    • 솔라나
    • 210,700
    • +9.34%
    • 에이다
    • 551
    • +1.47%
    • 이오스
    • 828
    • +2.22%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100
    • +1.99%
    • 체인링크
    • 20,290
    • +3.47%
    • 샌드박스
    • 479
    • +1.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