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도 부담인데"…철강업계, 환경규제 설비 투자도 부담↑

입력 2023-03-02 16: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포스코·현대제철 등 전기료 인상으로 인한 비용 부담↑
탈탄소 규제로 고로 대신 전기로로 생산체제 전환 가속

▲현대제철 인천공장 전기로. (사진제공=현대제철)
▲현대제철 인천공장 전기로. (사진제공=현대제철)

철강사들이 전기요금 상승으로 부담이 점증되고 있다. 또 탄소중립 이슈가 부각되면서 친환경 규제에 따른 투자, 확장 등도 철강사들의 부담이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는 산업용 전기요금을 4월, 7월, 10월 세 차례 인상했다. 킬로와트시(㎾h) 당 최대 41.6원으로 올렸다. 이어 올해 1월에도 13.1원을 추가로 인상했다. 전력 사용량이 많은 철강사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이번 1분기 전기요금이 kw당 13원이 인상돼 추가 비용이 1300억 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는 탈탄소 전환이 본격화하면서 탄소배출량이 고로의 4분의 1 수준인 전기로로 철강사들이 대체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기로는 고로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75% 줄일 수 있는 대표적인 친환경 제강 공법이다. 친환경 공법이지만 전기료 인상으로 이마저도 부담이라는 게 다수 업계관계자의 목소리다.

고로와 전기로를 함께 가지고 있는 현대제철은 연간 최대 1200만 톤(t) 수준의 전기로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앞으로도 고로 방식을 벗어나 독자적인 전기로 철강 생산체제인 '하이큐브'를 구축하기로 했다.

최근 포스코도 6000억 원을 투자해 광양제철소에 전기로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비용 부담이 크지만 탈탄소 시장을 선점하고, 시장 지배력을 높이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광양제철소에서 신설되는 전기로는 연산 250만 톤(t) 규모로 2024년 1월 착공해 2026년부터 본격적인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전기요금 부담도 크지만, 철강사들의 친환경 규제에 따른 투자 비용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장기적으로 환경규제로 인해 국내 철강사들이 하루빨리 시장 선점을 하게 된다면, 기술 선점을 통해 주도권을 확보하고 글로벌 철강 시장에서의 지배력은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협박과 폭행·갈취 충격 고백…렉카연합·가세연, 그리고 쯔양 [해시태그]
  • 갤럭시Z 플립6·폴드6, 사전판매 시작…온·오프 최저가는 어디?
  • 이젠 최저임금 1만 원 시대…내년 1.7% 오른 1만30원 확정
  •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 반감기 시기로 회귀…“매도 주체 채굴자”
  • 끊이지 않는 반발…축구지도자협회, 홍명보 선임한 정몽규에 사퇴 요구
  • 일본 ‘방위백서’…20년 연속 ‘독도는 일본 땅’ 기술
  • 200년 만의 '극한 폭우', 깨어보니 이웃집이 사라졌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680,000
    • +1.05%
    • 이더리움
    • 4,415,000
    • +1.08%
    • 비트코인 캐시
    • 529,500
    • +7.47%
    • 리플
    • 715
    • +10.85%
    • 솔라나
    • 195,800
    • +1.66%
    • 에이다
    • 590
    • +4.8%
    • 이오스
    • 756
    • +2.72%
    • 트론
    • 197
    • +2.6%
    • 스텔라루멘
    • 141
    • +10.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750
    • +3.72%
    • 체인링크
    • 18,250
    • +3.58%
    • 샌드박스
    • 442
    • +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