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500대 기업, 투자 안개 속…절반 "투자계획 없거나 미정"

입력 2022-12-05 06:00 수정 2022-12-05 15: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국내 대기업의 절반가량이 아직도 내년도 투자계획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자금시장 경색, 고환율 등 불안한 경제여건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국내 투자계획’(100개사 응답)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8.0%가 내년도 투자계획이 없거나(10.0%)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38.0%)고 답변했다. 투자계획을 수립한 기업은 52.0%에 그쳤다.

특히, 투자계획을 수립한 기업(52.0%)의 내년도 투자규모를 살펴보면, 과반(67.3%)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투자 축소(19.2%)가 확대(13.5%)보다 많아 전반적으로 내년 투자실적이 올해보다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기업들은 내년도 투자 규모를 늘리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로 △금융시장 경색 및 자금조달 애로(28.6%) △원/달러 환율상승(18.6%) △내수시장 위축(17.6%) 등을 지목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이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중금리의 급격한 상승으로, 투자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투자활성화 시점에 대해서는, 기업 과반(64.0%)이 2023년 하반기 이후로 응답했으며, ‘기약 없음’을 선택한 응답 비중도 26.0%에 달했다. 투자활성화 시점을 2023년 상반기로 내다보는 응답 비중은 5.0%에 불과했다.

투자활성화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응답 비중은 2023년 하반기 29.0%, 기약 없음 26.0%, 2024년 상반기 24.0%, 2024년 하반기 11.0%, 2023년 상반기 5.0%, 올해 이미 활성화 5.0% 순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2023년 투자활동을 저해하는 양대 리스크로 글로벌 경기 둔화(29.1%)와 환율 상승세 지속(21.3%)을 꼽았다. 전경련은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 고환율 지속에 따른 수입비용 증가에 직면할 경우 수익성 악화로 투자 여력이 반감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외에도 기업들은 고물가(15.3%), 글로벌 긴축 및 금리 상승 지속(15.3%), 과도한 민간 부채 및 금융시장 부실화(9.7%) 등을 내년도 투자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했다.

기업들이 바라는 국내 투자 활성화 과제는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24.6%)과 자금조달 시장 활성화(22.0%), 기업규제 완화(14.7%), 법인세 감세 및 세제 지원 강화(13.7%) 등으로 조사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최근 금리인상에 따라 시중유동성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내년에 경기침체가 본격화될 경우 기업들은 수익성이 악화되고 투자자금 조달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적극적인 금융시장 안정대책을 사전에 강구해 자금시장 경색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고마워요”…버림받은 ‘통일미’, 아프리카서 화려한 부활 [해시태그]
  • 하루 1.8끼 먹고 소득 40% 생활비로 쓰지만…"1인 생활 만족" [데이터클립]
  • 검찰, ‘경기도 법인카드 사적 유용’ 이재명 불구속 기소
  • 울산 현대차 공장, 차량 테스트 중 연구원 3명 사망
  • 내년 3기 신도시 8000가구 분양 예정…실현 가능성은 '과제'
  • 증시서 짐싸는 개미들 “정보 비대칭에 루머·음모론 지쳐”
  • 서울지하철 노조, 내달 6일 총파업 예고…3년 연속 파업 이어지나
  • 삼성 ‘호암 이병철’ 37주기 찾은 이재용…‘침묵’ 속 초격차 경쟁력 고심
  • 오늘의 상승종목

  • 11.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0,474,000
    • +2.52%
    • 이더리움
    • 4,374,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630,500
    • +1.86%
    • 리플
    • 1,554
    • +1.24%
    • 솔라나
    • 340,900
    • +2%
    • 에이다
    • 1,049
    • +1.16%
    • 이오스
    • 912
    • -2.56%
    • 트론
    • 283
    • -1.05%
    • 스텔라루멘
    • 322
    • +1.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000
    • +2.24%
    • 체인링크
    • 20,900
    • -0.43%
    • 샌드박스
    • 492
    • -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