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 이어 보험업계에도 가계대출 조이기가 확대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풍선효과 방지 차원에서 저축은행, 보험사 등 제2금융권 대출도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출 보릿고개 현상이 현실화되고 있단 지적이다.
2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오는 24일 생명 손해보험협회는 가계대출 관련 임원회의를 화상으로 소집한다. 생손보협회 관계자는 "특별한 수치를 주문하기 보다는 관리를 잘 해달라는 당부 차원의 회의"라고 말했다. 이는 금융당국의 대출 관리 압박에 따른 회의 소집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를 은행권 5~7%, 저축은행권 21%로 제시하고 주간 단위로 점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은 물론이고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도 대출받기가 더 어려워지는 '대출 보릿고개'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이 거세지면서 최근 은행들이 일부 대출을 중단한 데 이어 저축은행도 신용대출 한도를 대출자의 연소득 이내로 제한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이 2금융권에 대한 대출 관리 강화에 나선 것은 올 들어 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급증해서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1~7월 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액은 27조 4000억 원이다. 2019년 1~7월에는 가계대출이 3조 5000억 원 감소했고, 지난해에는 2조 4000억 원 줄었다.
다만 은행권과 같이 대출을 전면 중단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는 "아직까진 대출계획 변동은 없다"는 입장이다. 가계대출 증가율이 7%를 넘어 금융당국의 관리 요구를 받던 농협은행은 신규 담보대출을 오는 11월까지 중단하기로 했다. 우리은행도 3분기 한도 소진으로 다음달까지 전세대출을 중단했다. 이에 따라 대출 수요가 다른 은행이나 저축은행, 보험사 등 다른 업권으로 옮겨 가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급증하는 가계대출을 억제해야 하는 상황은 맞지만, 급작스런 대출 중단 등 관리 대책의 부작용이 터지는 상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