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레시피]연간 최대 ‘10만원’ 환경 아낄수록 돈 버는 탄소 포인트제

입력 2021-02-15 14: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환경을 아껴주기만 해도 돈을 벌 수 있는 제도가 있다. 바로 '탄소 포인트제'다.

탄소포인트제는 온실가스를 절약한 만큼 포인트를 지급해 현금 및 상품권(지역 화폐) 등으로 교환할 수 있는 제도이다. 온실가스 감축 및 저탄소 녹색 성장에 대한 시민 의식 확대를 위해 2008년에 처음 도입됐다.

탄소포인트제에 가입한 후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등 에너지 사용량을 15% 줄이면 연간 최대 10만 원 상당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출처=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 캡처)
(출처=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 캡처)

탄소 포인트는 연간 최대 현재 에너지 사용량과 과거 2년간의 같은 월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해 산정한 다음, 에너지 항목별 감축률에 따라 연 2회 탄소포인트를 부여한다. 1포인트당 최대 2원 내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탄소포인트는 △현금 △그린카드 포인트 △상품권, 지역 화폐 등으로 지급된다. 포인트로 지방세 납부를 대신 할 수 있고, 공공시설 이용 바우처, 종량제 봉투로도 지급 받을 수 있다. 해당 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인센티브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그린카드는 환경부가 비씨카드와 국민은행과 제휴해 발급하는 신용 혹은 체크카드로 대중교통 이용과 그린카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다.

그린카드 소지자는 국립공원 할인, 휴양림 입장료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탄소포인트제 신청 방법은?

(출처=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 캡처)
(출처=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 캡처)

탄소포인트제 가입은 환경부가 운영하는 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에서 계좌를 개설한 후 가능하다. 참여 신청서를 작성해 관할 시·군·구청에 방문하거나 우편이나 팩스로 보낼 수도 있다.

서울에 산다면 서울시가 운영하는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에서 가입하면 된다.

일반 가정뿐 아니라 학교 및 상업 시설, 아파트의 실제 사용자도 탄소포인트제에 가입할 수 있다. 150세대 이상 아파트 단지라면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신청할 수도 있다. 학교라면 학교장, 일반건물의 공용부문(가로등 및 산업용 전력)이라면 건물관리자가 신청하면 된다.

환경부는 100만 세대가 탄소포인트제에 참여해 1가구당 1kW씩만 줄여도 원전 1개에서 생산하는 전력(1GW=100만kW)을 줄일 수 있다고 말한다.

탄소포인트제 홈페이지 현황에 따르면 15일 현재까지 전국에서 탄소 포인트제에 참여한 가구는 193만5905 가구 수준이다. 이미 원전 하나를 줄이고, 두 개를 줄여나가고 있는 셈이다.

기후 변화로 곳곳에서 이상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요즘. 탄소포인트제 참여로 지구도 아끼고 절약도 실천하는 건 어떨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399,000
    • +0.95%
    • 이더리움
    • 4,770,000
    • +0.25%
    • 비트코인 캐시
    • 548,500
    • +1.39%
    • 리플
    • 667
    • -0.3%
    • 솔라나
    • 198,500
    • -0.4%
    • 에이다
    • 545
    • -1.45%
    • 이오스
    • 809
    • -0.86%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1.27%
    • 체인링크
    • 19,230
    • -1.28%
    • 샌드박스
    • 465
    • -2.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