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빈후더와 헤지펀드 싸움에, 한방 맞은 코스피

입력 2021-01-31 17:05 수정 2021-01-31 17: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월 마지막 거래일인 29일 오후 3시 20분. 키움증권 김지산 센터장 전화에서는 불이 났다. 2% 내림세로 끝날 것 같던 코스피가 장 마감 전 동시호가를 받자 증권사 트레이딩시스템에 2900선(-6%대)이 무너질 수 있다는 빨간불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날 증권사 센터장과 투자전략팀장들은 “장중 프로그램 매매와 개별 주가 상황을 1초 단위로 모니터링하는 상황이라 화장실도 제대로 못 갔다”면서 “리서치센터 전체가 벌집을 들쑤셔 놓은 듯한 모습이 된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1년 만이었다”고 고개를 가로저었다.

여의도가 미국 주식시장을 강타한 ‘게임스톱’발 악재에서 나온 외국인 매물 폭탄에 아수라장이 됐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 대비 92.84포인트(3.03%)추락한 2976.21에 마감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 3000을 밑돈 건 지난 6일(2968.21) 이후 17거래일 만이다. 장중 한때 2962.7까지 추락했다. 코스닥 지수는 3.38% 하락해 928.73에 마쳤다.

미국 비디오게임 유통체인인 ‘게임스톱’을 둘러싸고 미국 ‘개미’(개인 투자자)와의 전쟁에서 손실을 본 헤지펀드가 주식을 던진 것으로 분석된다.

외국인은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1조4000억원이 넘는 순매도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최근 나흘 연속 5조6000억원의 주식을 내다 팔았다. 개인은 이 기간 8조9000억원을 쓸어담았지만 3000선을 지켜내지 못했다.

시장에선 증시 조정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일본 닛케이 지수(-1.89%)·대만 가권지수(-1.8%) 등 아시아 증시를 덮친 쓰나미는 유럽증시를 휩쓸더니 다시 미국증시로 향했다. 29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20.74포인트(2.03%) 떨어진 2만9982.62에 거래를 마쳤다. 3만 선을 내준 것은 지난해 12월 14일 이후 한 달 반 만이다. S&P500 지수는 1.93% 내린 3714.24에, 나스닥 지수는 2.00% 떨어진 1만3070.69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일부에서는 2000년 닷컴버블이 재현될 수 있다는 경고음이 흘러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K-코인 신화 위믹스…신화와 허구 기로에 섰다 [위메이드 혁신의 민낯]
  • [르포]유주택자 대출 제한 첫 날, 한산한 창구 "은행별 대책 달라 복잡해"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11시 월드컵 3차예선 오만전…중계 어디서?
  • 연세대 직관 패배…추석 연휴 결방 '최강야구' 강릉고 결과는?
  • 제도 시행 1년 가까워져 오는데…복수의결권 도입 기업 2곳뿐 [복수의결권 300일]
  • 불륜 고백→친권 포기서 작성까지…'이혼 예능' 범람의 진짜 문제 [이슈크래커]
  • 전기차 화재 후…75.6% "전기차 구매 망설여진다" [데이터클립]
  • “고금리 탓에 경기회복 지연”…전방위 압박받는 한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9.10 09:5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7,300,000
    • +3.51%
    • 이더리움
    • 3,188,000
    • +1.85%
    • 비트코인 캐시
    • 435,400
    • +4.49%
    • 리플
    • 727
    • +1.25%
    • 솔라나
    • 181,600
    • +2.89%
    • 에이다
    • 463
    • -0.86%
    • 이오스
    • 666
    • +2.3%
    • 트론
    • 209
    • +0.48%
    • 스텔라루멘
    • 125
    • +1.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3.72%
    • 체인링크
    • 14,190
    • +0.28%
    • 샌드박스
    • 343
    • +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