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수무책 외교부, 87개국 ‘NO 코리안’…중국ㆍ베트남에 국민 1200명 격리

입력 2020-03-03 14: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대정부 질문에 참석, 답변에 앞서 마스크를 벗고 있다.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대정부 질문에 참석, 답변에 앞서 마스크를 벗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세계의 거의 절반 가까운 국가가 한국으로부터의 입국을 막거나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외교부에 따르면 3일 오전 9시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입국을 막거나 입국절차를 강화한 국가ㆍ지역은 총 87곳이다. 입국을 전면 또는 일정 기간 금지하는 국가는 26곳이다. 검역 강화와 격리 등을 통해 입국절차를 강화한 곳은 중국을 포함해 51곳이다. 전날 오후 10시 기준 83곳에서 베네수엘라ㆍ루마니아ㆍ라이베리아ㆍ콩고민주공화국이 추가됐다.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한국으로부터의 입국을 제한하는 국가는 유엔 회원국(193개국) 기준으로 45%다.

중국의 경우 성과 시 단위 지방정부 13곳(산둥성,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광둥성, 푸젠성, 상하이시, 장쑤성, 저장성, 톈진시, 충칭시, 산시성, 쓰촨성)에서 한국에서 출발하는 자국민과 외국인(한국인 포함)의 입국을 자가격리 또는 지정 호텔 격리 형식으로 제한하고 있다. 공식 집계에는 빠져 있지만 베이징시에서도 한국발 입국자를 격리하는 일이 있었다. 이들 지역 외에도 여전히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은 지방정부의 제한 조치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각국의 한국발 입국제한 조치에 발이 묶여버린 한국인도 1200명에 달한다. 주로 여행 목적보다는 해외에 거주하거나 사업 등을 이유로 방문한 사례가 많다. 중국(960여 명)과 베트남(270여 명) 등으로 파악되고 있다. 외교부는 한국 국민을 격리 조치하고 있는 일부 국가에 신속대응팀 파견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대응팀마저도 해당 국가에 입국할 경우 14일 동안 격리되는 문제가 있어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아울러 외교부는 이르면 이번 주 주한외교단을 상대로 설명회를 열고 한국의 코로나19 상황과 정부의 적극적인 방역 노력을 알릴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건설업계·부동산 전문가 75% "서울 아파트값 계속 오른다"…지방은 상승 "어려워"
  • 자사주 취득·소각 길 열린 고려아연…영풍 또 가처분 신청
  • 단독 예산 수십억 들였는데 참여 기업은 3곳뿐…'AI 신뢰 인증제'
  • 尹, 쌍특검법·지역화폐법 재의 요구...24번째 거부권[종합]
  • '흑백요리사' 최현석, 비장의 무기 꺼냈다…시청자들 뒤집힌 이유는?
  • “축구협회, 홍명보 감독 선임하며 내부규정 안 지켜”
  • 단독 교육부, 전국 의대에 "동맹휴학 안 된다" 공문…서울대 의대 휴학 승인 ‘논란’
  • 北, 열흘 만에 쓰레기 풍선 살포 재개…올해 들어 23번째
  • 오늘의 상승종목

  • 10.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242,000
    • -2.83%
    • 이더리움
    • 3,314,000
    • -5.4%
    • 비트코인 캐시
    • 431,400
    • -5.83%
    • 리플
    • 800
    • -2.68%
    • 솔라나
    • 197,600
    • -4.63%
    • 에이다
    • 479
    • -5.89%
    • 이오스
    • 648
    • -6.36%
    • 트론
    • 207
    • +0%
    • 스텔라루멘
    • 127
    • -4.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400
    • -6.97%
    • 체인링크
    • 15,040
    • -7.05%
    • 샌드박스
    • 342
    • -6.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