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환율 상승에…수입물가지수 4년1개월만 최고

입력 2018-11-13 06:00 수정 2018-11-13 18: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석탄·석유·1차금속 중심 상승..소비자물가 상승 견인할 듯

국제유가 상승과 원·달러 환율 상승이 맞물리면서 수출입물가는 오름세를 지속했다. 특히 수입물가지수는 4년1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함에 따라 소비자물가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 자료에 따르면 10월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1.5%(전년동월비 10.7%) 오른 92.06(2010년=100 기준)을 기록했다. 이는 2014년 9월(93.03)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는 10월 평균 두바이유가가 전월대비 2.8%(전년동월비 42.9%) 상승한 배럴당 79.39달러를 기록한 영향이 크다. 아울러 원·달러 환율도 전월보다 0.9%(10.21원) 상승한 1130.81원을 보인 것도 주효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1131.57원 이후 1년만에 최고치다.

품목별로는 원유(3.7%) 등을 중심으로 광산품이 3.1% 상승했고, 석탄 및 석유제품도 벙커C유(7.4%) 등을 중심으로 3.0% 올랐다. 원재료 가격 오름세에 동정련품이 4.3% 오르는 등 제1차금속제품 역시 0.8% 상승했다.

수출물가도 전월보다 0.5%(전년동월비 1.3%) 상승한 88.32를 보였다. 역시 2014년 11월 88.57 이후 3년11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수입물가와 같이 석탄 및 석유제품이 3.6%, 제1차금속제품이 1.5% 올랐다. 반면 공급물량이 많은 D램(-4.9%)값 하락에 전기 및 전자기기는 0.4% 떨어졌다. 화학제품 역시 국제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중국 수요부진이 이어지면서 0.1% 내렸다.

박상우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 상승에 수출물가보다 수입물가가 더 큰 폭으로 올랐다”면서 “과거에 비해 강도가 약해지긴 했지만 수입물가 상승은 국내 생산자물가를 거쳐 소비자물가에 가격을 전이시킨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최근 국제유가가 70달러 밑으로 떨어지기도 했지만 지난해 11월 평균 두바이유가가 60.82달러라는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물가 흐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의정갈등 물꼬 트나…임현택 의협 회장 압도적 찬성으로 ‘탄핵’
  • 단독 “투자금 못 낸다”...한강리버버스 사업서 발뺀 ‘이크루즈’
  • 백화점 달구는 애니메이션 팝업…아케인vs드래곤볼 한판 대결
  • 포항제철소서 큰 불, 3시간 만에 진화… 1명 부상 [종합]
  • '이강인 2골 1도움' PSG, 앙제에 4-2 승리…홈 팬들 물통 투척 '눈살'
  • 공모주 시장, 날씨보다 춥네…상장 첫날부터 주가 ‘곤두박질’
  • 네카오 실적 갈렸다...카카오 ‘먹구름’ vs 네이버 ‘창사 이래 최대’
  • 중간 성적 17%, 보수 심장에선 경고음...임기후반 ‘이것’에 달렸다[尹 임기반환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11.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0,568,000
    • +3.92%
    • 이더리움
    • 4,426,000
    • +4.21%
    • 비트코인 캐시
    • 615,000
    • +15.82%
    • 리플
    • 837
    • +9.13%
    • 솔라나
    • 291,900
    • +5.34%
    • 에이다
    • 840
    • +37.03%
    • 이오스
    • 813
    • +23.37%
    • 트론
    • 229
    • +2.23%
    • 스텔라루멘
    • 153
    • +8.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950
    • +15.16%
    • 체인링크
    • 20,190
    • +6.71%
    • 샌드박스
    • 409
    • +11.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