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 회복 나선 전경련, 아직 갈 길 멀다

입력 2018-02-19 09: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환골탈태’에 버금가는 혁신에 나서겠다고 밝힌지 1년 여가 지났지만, 전경련에 대한 불신은 여전한 모습이다.

지난 14일 경제개혁연대는 ‘정부는 전경련 설립 허가 취소하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경제개혁연대는 특히 전경련이 명칭 변경 계획을 보류한 것과 관련해 “개명을 위한 정관 변경을 신청할 경우 전경련 해산 문제가 다시 논란이 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아니면 반대로 전경련 이름을 그대로 둔 채 계속 버틸 수 있겠다고 판단을 했기 때문일 것”이라며 “어쨌거나 해산 요구를 거부하며 스스로 내건 혁신안마저 폐기하는 전경련은 변한 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싱크탱크로 거듭나겠다던 전경련이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의 실형 선고에 대해 우려하고 법원을 압박하는 논평을 발표한 것 역시 스스로의 정체성을 부정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회원사가 빠져나간뒤 재정난을 겪고 있다고 호소해 왔던것과 달리 지난해 임대료를 통해 수백억 원의 수입을 거둬들인 것도 비난의 요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도 신뢰 회복을 위한 (전경련의) 노력이 부족했다고 자평할 만큼 전경련의 혁신 작업은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다만 전경련은 다소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명칭 변경을 제외하고는 작년 발표했던 혁신안 대부분을 시행, 완료했기 때문이다. 우선 조직 축소를 위해 기존 7본부 체제를 커뮤니케이션본부, 사업지원실, 국제협력실 등 1본부 2실 체제로 바꿨다.

이 과정에서 한때 200명에 달했던 임직원의 수는 절반 넘게 줄었으며 남아있는 직원의 월급도 30% 삭감했다. 창립이래 중요 의사결정기구 역할을 해왔던 회장단회의도 폐지했다.

또한 한국경제연구원을 중심으로 싱크탱크 기능을 강화에도 나서고 있다. 지난해 9월 ‘북핵 사태’가 불거졌을 당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존 체임버스 전 S&P 국가신용등급 평가위원회 의장 등을 초청해 ‘특별대담’을 진행하기도 했으며 4차 산업혁명과 같은 국가 어젠다와 관련한 세미나와 심포지엄 개최에도 나섰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쇄신안 발표 당시에도 혁신에 대한 전경련의 의지가 약하다는 말이 많았다”면서 “1년이 지난 지금 결과를 보니 결국 규모가 작아진 것 말고는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고 꼬집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펜싱 여자 사브르, 사상 첫 단체전 은메달…우크라에 역전패 [파리올림픽]
  • 투자만큼 마케팅 효과도 '톡톡'…'파리올림픽' 특수 누리는 기업은? [이슈크래커]
  • 단독 “셀러도 몰랐던 위성몰”…‘큐익스프레스 상장용’ 부풀리기 꼼수[티메프發 쇼크]
  • 부작용이 신약으로…반전 성공한 치료제는?
  • 아이브, 美 롤라팔루자 신고식 '성공적'…밴드 라이브로 팔색조 무대 완성
  • 엔화 강세에 엔테크족 '반짝 웃음'…추가상승 여부는 '글쎄'
  • “유급 없다”는데도 돌아오지 않는 의대생…수업 출석률 2.7% 불과
  • 기술주 흔들려도…외국인 ‘삼성 러브콜’ 건재
  • 오늘의 상승종목

  • 08.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867,000
    • -3.19%
    • 이더리움
    • 3,972,000
    • -3.5%
    • 비트코인 캐시
    • 488,000
    • -4.31%
    • 리플
    • 742
    • -5.72%
    • 솔라나
    • 188,100
    • -7.97%
    • 에이다
    • 485
    • -3%
    • 이오스
    • 669
    • -4.02%
    • 트론
    • 180
    • +1.69%
    • 스텔라루멘
    • 124
    • -5.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400
    • -6.16%
    • 체인링크
    • 15,300
    • -6.88%
    • 샌드박스
    • 361
    • -6.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