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큐브벤처스, 760억원 신규 투자조합 결성…벤처 생태계 ‘빅 위너’ 육성 박차

입력 2017-12-18 14: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호 ‘KIF-카카오 우리은행 기술금융투자펀드’ 결성…총 펀드 운용자산 2000억 원 돌파

▲케이큐브벤처스 파트너. 왼쪽부터 신민균 공동대표, 정신아 상무, 유승운 공동대표, 김기준 상무(사진제공=케이큐브벤처스)
▲케이큐브벤처스 파트너. 왼쪽부터 신민균 공동대표, 정신아 상무, 유승운 공동대표, 김기준 상무(사진제공=케이큐브벤처스)

케이큐브벤처스는 760억 원 규모의 신규 6호 투자조합 ‘KIF-카카오 우리은행 기술금융투자펀드’ 결성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펀드는 2012년 4월 출범 이후 결성된 6개의 펀드 중 단일 최대 규모로, 케이큐브벤처스의 총 펀드 운용자산(AUM)도 2000억 원을 돌파했다.

KIF-카카오 우리은행 기술금융투자펀드는 기술금융의 발전과 4차산업혁명 기술을 선도하는 스타트업 투자를 중심으로 운용된다. 특히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핵심 기술력을 지닌 스타트업에게 초기 성장 단계부터 투자를 통해 지원할 계획이다. 대표 펀드 매니저는 유승운 케이큐브벤처스 공동대표가 담당한다.

하반기부터 출자자 모집에 나선 케이큐브벤처스는 KIF투자조합, 성장사다리펀드, 한국모태펀드, 우리은행 등 국내 대형 유한책임출자자(LP)로부터 위탁운용사(GP)로 선정됐다. KIF투자조합으로부터 180억 원을, 성장사다리펀드 내 기술금융투자펀드로부터 150억 원을, 한국모태펀드 3차 정시 출자사업에서 130억 원을 출자 받았다.

유승운 케이큐브벤처스 공동대표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신기술과 혁신에 주목하는 출자자와 펀드 결성을 함께하게 되어 큰 사명감과 책임감을 느낀다”며 “유망한 초기 스타트업 발굴과 동시에 후속 투자에도 적극 참여해 ‘빅 위너’(Big Winner)가 끊이지 않는 벤처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케이큐브벤처스는 카카오의 투자 전문 자회사로, 지금까지 100여 개 이상의 모바일, 기술, 게임 분야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다. 대표 포트폴리오로는 프로그램스(왓챠플레이), 두나무, 넵튠, 루닛, 한국신용데이터 등이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56년의 대장정…현대차 글로벌 누적생산 1억 대 돌파
  • '연봉 7000만 원' 벌어야 결혼 성공?…실제 근로자 연봉과 비교해보니 [그래픽 스토리]
  • 테슬라 주가 연초 수준 복구...이차전지 회복 신호탄 될까
  • 신작 성적 따라 등락 오가는 게임주…"하반기·내년 신작 모멘텀 주목"
  • '5000원' 백반집에 감동도 잠시…어김없이 소환된 광장시장 '바가지'? [이슈크래커]
  • '시청역 역주행' 사고 운전자 체포영장 기각된 까닭
  • '나는 솔로' 이상의 도파민…영화 넘어 연프까지 진출한 '무당들'? [이슈크래커]
  • 임영웅, 광고계도 휩쓸었네…이정재·변우석 꺾고 광고모델 브랜드평판 1위
  • 오늘의 상승종목

  • 07.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768,000
    • -3.71%
    • 이더리움
    • 4,462,000
    • -4.54%
    • 비트코인 캐시
    • 491,800
    • -6.59%
    • 리플
    • 637
    • -6.19%
    • 솔라나
    • 188,900
    • -7.36%
    • 에이다
    • 554
    • -3.99%
    • 이오스
    • 763
    • -6.03%
    • 트론
    • 181
    • -1.63%
    • 스텔라루멘
    • 126
    • -3.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00
    • -10.34%
    • 체인링크
    • 18,590
    • -8.11%
    • 샌드박스
    • 421
    • -7.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