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차 실내공기질 기준 논란…국민 건강 담보 ‘車업체 봐주기‘ 지적

입력 2016-12-02 10: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톨루엔 기준치 독일보다 5배 낮는 등 자동차 선진국 기준보다 현저히 낮아

국내 신차 실내공기질 기준이 독일, 일본 등 자동차 선진국과 비교해 현저히 낮아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외국에 비해 신차 실내공기질 기준을 낮춘 것은 국내 자동차업계를 봐주기 위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0일 2015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국내에서 기아·현대·르노삼성 및 한국지엠이 신규로 제작·판매한 6개 차종에 대해 실내공기질을 조사한 결과, 6대 모두 기준에 충족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독일 기준에 맞춰보면 그렇지 않다.

대표적인 것이 톨루엔이다. 톨루엔은 접착제나 페인트에 함유된 성분으로 과도하게 흡입하면 두통이나 구토, 피부염 등을 유발한다.

우리나라 기준치는 1000㎍/㎥이지만 독일 기준치는 200㎍/㎥다. 이 기준치에 따르면 국토부가 기준에 적합하다고 발표한 르노삼성이 제작·판매하는 SM6은 373.9㎍/㎥가 검출돼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기아차 스포티지도 174.4㎍/㎥, 현대 아반떼 158.9㎍/㎥가 검출됐는데 위험 수준이다.

국토부는 측정기준 물질에 2012년 벤젠과 자일렌, 2015년 아크롤레인을 추가했고 지난해 3개 물질(폼알데하이드, 에틸벤젠, 스티렌) 허용기준을 강화했지만 아직도 기준이 높다는 지적이다.

신차 실내공기질 측정물질 수도 중국, 일본에 비해 적다. 우리나라는 포름알데히드 등 7개 물질만 측정하지만 중국은 8개, 일본은 9개 물질을 측정해 발표한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및 카보닐화합물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측정하는 방법도 문제다. 우리나라는 주행모드가 아닌 대기모드에서 신차공기질을 측정한다. 반면 ISO와 일본은 대기모드, 주차모드, 주행모드 세 가지 모드를 사용해 측정한다. 교통 체증 등으로 인해 한 번 주행이 장시간으로 이어지는 국내 운전자의 특성상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국내 자동차회사들도 이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으나 비용 문제로 문제해결에 수동적이라는 지적이다.

A대학 B화학과 교수는 “국내 한 자동차기업이 신차에 휘발성유기화합물 저감을 추진하다 비용 문제로 중단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 기준이 강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요아정은 ‘마라탕과’일까 ‘탕후루과’일까? [해시태그]
  • 최강야구보다 '더 강력한' 야구 온다…'전설의 무대' 한일 드림 플레이어즈 [이슈크래커]
  • “재밌으면 당장 사”…MZ 지갑 여는 마법의 이것 [진화하는 펀슈머 트렌드]
  • "하늘 뚫린 줄" 새벽부터 물폭탄 쏟아진 수도권…기상청 "오후에도 70㎜ 이상 강한 비"
  • [종합] 뉴욕증시, 기술주 급락에 나스닥 ‘최악의 날’...다우는 4만1000선 돌파
  • 데이트 비용, 얼마나 쓰고 누가 더 낼까 [데이터클립]
  • 단독 산업은행, 아시아지역본부 없앴다...해외진출 전략 변화
  • NH투자증권 "체코 원전…한전기술·두산에너빌리티·대우건설 수혜"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09: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9,271,000
    • -2.26%
    • 이더리움
    • 4,728,000
    • -2.21%
    • 비트코인 캐시
    • 525,000
    • -3.23%
    • 리플
    • 879
    • +8.38%
    • 솔라나
    • 217,900
    • -3.28%
    • 에이다
    • 611
    • -0.65%
    • 이오스
    • 842
    • +0.12%
    • 트론
    • 187
    • +0%
    • 스텔라루멘
    • 154
    • +2.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00
    • -1.49%
    • 체인링크
    • 19,240
    • -3.27%
    • 샌드박스
    • 472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