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내년까지 전력 신산업 펀드에 2조 출자

입력 2016-05-19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전력이 내년까지 전력 신산업 펀드에 2조원을 출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전 주도로 전력 신산업 펀드를 올해 1조원, 내년까지 총 2조원을 출자해 에너지 신산업 창업, 기술개발, 해외진출을 지원한다고 19일 밝혔다.

산업부와 한전에 따르면 펀드 투자분야는 신재생,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온실가스 감축 등 신산업이다. 상위펀드 결성은 10월까지 마무리하고 11월부터 하위펀드를 결성한다. 상위펀드가 하위펀드에 출자하고, 하위펀드가 실제 투자를 집행하는 모자형(母子型) 구조로 설계(자본시장법상 집합투자기구)할 계획이다.

상위펀드는 10월까지 1조원 규모로 결성하고, 내년까지 2조원을 조성한다. 한전이 주도로 출자하되, 신산업 분야 민간기업 • 금융권도 참여 가능하다.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공사)

하위펀드는 투자방식에 따라 4~5개를 하반기 구성해 투자를 개시한다. 엔젤투자 펀드, 벤처캐피탈 펀드, 지분투자 펀드, 국내외 프로젝트 펀드, 보증형 펀드 등 형태로 운영한다.

대상은 대학생 벤처 동아리, 창업 기업, 성장잠재력이 큰 중소‧중견기업 위주로 한다는 설명이다. 방식은 아이디어와 기술에 대한 엔젤투자, 잠재력이 큰 기업에 대한 벤처캐피탈 지원, 인수합병(M&A) 투자, 해외 프로젝트 투자 등을 병행한다.

분야는 에너지 신산업 기반기술, 요소기기, 소프트웨어, 솔루션, 비즈니스 모델, 지식재산권, 해외기술, 해외 프로젝트 등으로 다양하다. △기술개발에서 배터리 경량화 기술, 사물인터넷(IoT) 등 신산업 접목 융복합 기술, 탄소자원화 기술 △창업육성에서 태양전지, 바이오매스, 전기차, ESS, 에너지관리 시스템, 스마트 미터 등에 중점 투자할 계획이다.

운용사는 투자 경험과 해외 네트워크가 풍부한 곳을 7월 중 선정한다. 상위펀드 운용사에는 자산운용사, 한전 등이 참여해 각사의 장점을 결합할 방침이다. 한전, 발전 공기업, 민간기업, 금융권이 참여하는 투자자문위원회도 구성해 운영한다.

펀드 조성절차는 상위펀드 자산운용사 선정공고(6월), 한전투자 이사회의결(6월), 전력 신산업펀드 결성 및 규약체결(10월), 하위펀드 구성 및 투자개시(11월) 순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유니클로부터 K리그까지…온 세상이 '헬로키티' 천국? [솔드아웃]
  • '쯔양 협박' 논란에 검찰도 나섰다…'사이버 렉카' 수사 착수
  • 갤럭시Z 플립6·폴드6, 사전판매 시작…온·오프 최저가는 어디?
  • 이젠 최저임금 1만 원 시대…내년 1.7% 오른 1만30원 확정
  •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 반감기 시기로 회귀…“매도 주체 채굴자”
  • 끊이지 않는 반발…축구지도자협회, 홍명보 선임한 정몽규에 사퇴 요구
  • 일본 ‘방위백서’…20년 연속 ‘독도는 일본 땅’ 기술
  • 200년 만의 '극한 폭우', 깨어보니 이웃집이 사라졌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0,748,000
    • -2.05%
    • 이더리움
    • 4,337,000
    • -2.23%
    • 비트코인 캐시
    • 490,600
    • +1.43%
    • 리플
    • 667
    • +5.87%
    • 솔라나
    • 191,500
    • -5.1%
    • 에이다
    • 564
    • +1.44%
    • 이오스
    • 733
    • -1.87%
    • 트론
    • 193
    • +1.58%
    • 스텔라루멘
    • 130
    • +3.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250
    • +0.18%
    • 체인링크
    • 17,480
    • -3.9%
    • 샌드박스
    • 420
    • -1.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