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7월 1일 屠門大嚼(도문대작) 고깃집 문 앞에서 크게 씹는 흉내

입력 2015-07-01 10: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TV화면이 먹방(먹는 방송), 쿡방(요리하는 방송)으로 넘쳐나고 있다. 이투데이 배국남 대중문화 전문기자에 의하면 “먹는 것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와 먹는 것을 통한 작은 사치, 급증하는 1인 가구의 식구의 정을 충족시키는 것 때문에 먹방과 쿡방은 2015년 상반기 두드러진 예능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시청자들은 입맛을 다시며 먹는 방송을 즐긴다. 그야말로 도문대작(屠門大嚼), 고깃집 문 앞에서 크게 씹는 흉내를 내는 격이다. 이 말은 원래 허장성세나 상상만으로 뭘 얻은 것처럼 만족하는 행동의 비유였다. 그런데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許筠·1569~1618)이 우리나라 8도의 명물 토산품과 별미를 소개한 책에 이 제목을 붙여 음식을 일컫는 뜻으로도 쓰이게 됐다. 광해군 3년(1611)에 귀양지인 전북 함열에서 엮은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26권 중 제26권이다.

허균은 “죄를 짓고 귀양살이를 하게 되니 지난날에 먹었던 음식 생각이 나서 견딜 수 없다. 이에 유(類)를 나누어 기록해 놓고 때때로 보아가며 한번 맛보는 것이나 못지않게 한다”고 집필 동기를 밝혔다. 책에는 강릉의 방풍죽(防風粥) 등 총 117종 식품의 명칭, 모양, 맛 등이 기록돼 있다. 특히 실국수[絲麪]에 대해 중국의 오동(吳同)이 이를 잘 만들어 이름이 전해진다고 썼다. ‘우동’이라는 말이 일본이 아니라 중국에서 온 것이라는 추측을 하게 한다.

성소(惺所)는 허균의 호. 부부고(覆瓿藁)는 작은 항아리나 덮을 정도로 보잘것없는 글이라는 뜻이다. 자신의 글이나 책을 겸손하게 일컫는 말이다. 중국 한나라의 유흠(劉歆)이 양웅(楊雄)의 ‘법언(法言)’이라는 책을 후세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항아리 뚜껑으로 쓸지도 모른다고 한 데서 유래됐다.

허균은 극형에 처해졌지만 외손자에게 책을 보내 오늘날까지 전해지게 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예비신랑, 1억 모아놨으면…" 실제 결혼자금 저축액은? [그래픽 스토리]
  • ‘광복절 특사’ 복권 대상에 김경수 포함…법조계 시각은
  • 스프링클러 아파트직원이 껐다…인천 청라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전말
  • 제5호 태풍 '마리아' 예상 경로…한반도 영향은?
  • 태권도 서건우, 남자 80kg급 8강 진출…극적인 역전승 거둬 [파리올림픽]
  • 구로역에서 작업 중 코레일 직원 3명 사상… 국토부, 철저 조사해 재발방지
  • '여행 가이드'가 무려 방시혁…포털 뜨겁게 달군 BJ 과즙세연은 누구?
  • 옆구리 찌르는 ‘요로결석’, 여름철 잘 걸리는 이유는? [e건강~쏙]
  • 오늘의 상승종목

  • 08.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500,000
    • +0.56%
    • 이더리움
    • 3,698,000
    • +0.14%
    • 비트코인 캐시
    • 500,500
    • +3.82%
    • 리플
    • 826
    • +0.36%
    • 솔라나
    • 216,900
    • -1%
    • 에이다
    • 488
    • +1.46%
    • 이오스
    • 679
    • +2.11%
    • 트론
    • 182
    • +2.25%
    • 스텔라루멘
    • 143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9,400
    • +0.25%
    • 체인링크
    • 15,000
    • +2.6%
    • 샌드박스
    • 376
    • +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