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한ㆍ일 분산 개최설 왜 나왔을까 [오상민의 현장]

입력 2014-12-08 07: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 2월 23일 오후(현지시각) 러시아 소치 해안클러스터 피쉬트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4 소치동계올림픽 폐막식에서 이석래 평창군수가 올림픽기를 흔들어 보이고 있다. (AP뉴시스)

평창동계올림픽 개최권을 놓고 때 아닌 논란이다. 최근 3년 여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의 한ㆍ일 분산 개최 문제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논란의 진원지는 로이터통신이다. 일부 종목이 일본에서 치러질 가능성이 있다는 최근 보도가 그것이다.

익명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관계자의 말을 인용한 내용으로 일부 종목을 일본에서 개최해야 한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일부란 썰매 종목(봅슬레이ㆍ루지ㆍ스켈레톤)으로 일본 나가노의 슬라이딩 센터를 이용한다는 구체적 의견까지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논의는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추진하고 있는 ‘아젠다2020’이라는 올림픽 운영 권고안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아젠다2020’란 올림픽 개최 도시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경험 부족을 효율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올림픽 개최 경험이 있는 인근 국가(도시)의 대회 시설을 활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국내 여론은 비난 일색이다. 재수ㆍ삼수를 통해 힘겹게 따낸 올림픽 개최권을 일본에게 넘겨줄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당연한 반발이다.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다년간 쏟아 부은 노력과 비용이 얼마인가. 동계 스포츠 인프라 구축과 경기력 향상, 그리고 대중의 동계 스포츠 참여 폭을 넓힐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이런 이유로 동계올림픽 유치는 오랜 숙원이었다.

해외 언론도 양국의 분산 개최 가능성을 낮게 봤다. 양국은 식민지배와 종군위안부 문제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비롯한 일본 정계 고위 인사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평창조직위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보고 한ㆍ일 공동 개최에 대해 전혀 검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한ㆍ일 분산 개최설이 왜 나왔는지 생각해볼 일이다. 강원 평창은 예산 부족과 일부 경기장 건설 지연 등으로 오래전부터 구설수에 올랐다. 개ㆍ폐회식 경기장 위치를 놓고 실랑이가 벌어지는가 하면 알파인스키 활강 경기장은 환경훼손 논란에 휩싸였고, 각 경기장의 사후 활용을 놓고 박을갑논이 이어지고 있다.

IOC와의 약속도 이행하지 못했다. 2011년 IOC에 유치신청서를 전달할 때만 해도 2013년 9월 남자 아이스하키 경기장을 끝으로 모든 경기장의 착공을 마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이들 경기장은 대부분 착공이 늦어지면서 대회 성공 개최 마저 확신할 수 없게 됐다. 일부에선 지금이라도 올림픽을 반환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온다.

빚더미 올림픽이라는 비난도 이어졌다. 인천아시안게임은 17개 경기장 건설비용 1조7200억원을 비롯해 총 2조5000억원을 투입됐지만 지방채 발행으로 조달한 예산 1조2500억원은 내년부터 향후 15년 동안 갚아야 할 신세다. 더구나 재정자립도가 낮은 강원도는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빚더미에 앉을 가능성이 더 크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재수ㆍ삼수를 거쳐 힘겹게 따낸 올림픽 유치권이다. 열심히 준비해 완벽한 올림픽으로 개최하겠다던 평창조직위의 야심찬 말이 이젠 무색하게 느껴진다. 평창동계올림픽은 이제 내부 불협화음을 넘어 해외 언론의 입방아에까지 오르는 신세가 됐다. 총체적 부실이 만들어낸 부끄러운 결과다. 반만년 역사 속에서 찬란한 역사로 기록돼야 할 평창동계올림픽이 일본에 의한 ‘반토막 올림픽’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쓸 때까지 조직위는 무엇을 한 것인지 묻고 싶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2년만 서울 그린벨트 해제…5만 가구 공급, 물량은 ‘충분’·공급 시간표는 ‘물음표’
  • 법인세 회피 꼼수…네이버 5000억 냈는데 구글은 155억
  • 단독 "AI에 진심" 정태영 부회장, '유니버스' 중동 세일즈 나섰다
  • 미 결전의 날…첫 여성 대통령인가 vs 132년만의 패자 부활인가
  • ‘자금 위해’ 글로벌로 눈 돌리는 K바이오, 해외서 투자 유치
  • 北, 미 대선 6시간 전 단거리탄도미사일 수발 발사…닷새 만에 도발 감행
  • 수도권 연립·다세대주택 전세 거래 중 ‘역전세’ 45%
  • 정몽규 '중징계' 요구한 문체부…"축구협회, 국민 기만하는 행태 보여"
  • 오늘의 상승종목

  • 11.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772,000
    • -0.15%
    • 이더리움
    • 3,385,000
    • -1.54%
    • 비트코인 캐시
    • 469,000
    • +0.26%
    • 리플
    • 714
    • +1.42%
    • 솔라나
    • 225,000
    • -0.27%
    • 에이다
    • 460
    • -0.65%
    • 이오스
    • 581
    • +0.87%
    • 트론
    • 227
    • -1.3%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900
    • -0.38%
    • 체인링크
    • 14,590
    • -2.21%
    • 샌드박스
    • 321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