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GDP 전년비 3.9% 성장…3년만에 최고

입력 2014-04-24 08:36 수정 2014-04-24 10: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1분기의 전기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9%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로는 3.9% 성장해 3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건설 및 지식재산생산물 투자 증가와 수출 호조에 따른 것이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GDP(속보치)가 전기비 0.9% 늘었다고 24일 발표했다. 앞서 분기 성장률은 8분기 연속 0%대에서 움직이다가 작년 2, 3분기에 1.0%와 1.1%로 올라섰다.

올해 1분기 실질 GDP는 작년 동기 대비로는 3.9% 늘었다. 이 증가율은 2011년 1분기(4.9%)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이번 GDP 증가율은 수출 증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건설투자 및 지식재산생산물투자가 큰폭으로 늘어난 데 힘입었다”며 “다만 민간소비 증가율이 낮아지고 설비투자는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 건설의 호조로 4.8%나 늘어 작년 4분기의 감소세(-5.2%)에서 벗어났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민간부문의 연구개발(R&D)투자를 중심으로 7.5% 증가했다.

수출은 전기 및 전자기기, 석유제품 등이 호조를 보여 1.7% 늘었으나 수입은 기계류, 화학제품 등이 줄어 0.5% 감소했다.

반면 민간소비는 자동차 등 내구재와 서비스 소비가 늘어 0.3% 증가했으나 전분기(0.6%)의 2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설비투자도 기계류가 부진해 -1.3%를 기록, 5분기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서비스업·건설업이 모두 증가했다.

제조업은 전기 및 전자기기, 금속제품, 석유제품 등이 늘어나면서 2.1% 올랐다. 서비스업은 음식숙박이 부진했으나 보건 및 사회복지, 운수 및 보관 등이 늘어나면서 0.6% 성장했다. 건설업도 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4% 증가했다.

반면 전기가스수도사업은 따뜻한 날씨로 난방용 수요가 줄어 4.5% 감소했다. 농림어업도 양돈, 육우 사육두수 감소 등으로 4.3% 하락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에 비해 0.7% 늘었다. 이는 전분기(0.8%)보다는 0.1%포인트 낮으나 전년동월비로는 4.6%로 같다.

올해 한은 GDP 성장률 전망치는 4.0%인 가운데 올해 첫 분기에 순조로운 출발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내수와 직결되는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경기회복세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커지는 팬덤 문화, 늘어나는 극성팬 [데이터클립]
  • Z세대 패기로 쓴 '반전 드라마'…안세영 진실공방 '본격 시작'
  • “일본 오지 마세요”…난카이 대지진 공포, 마트 털린 일본 [해시태그]
  • 해체냐 합병이냐....기로 선 티몬·위메프, 자구안 통할까 [티메프發 쇼크]
  • 언어ㆍ정보 장벽에…외국인 59% '무보험' [200만 보험 사각지대]
  • 트럼프 집권 불확실성에 흔들리는 비트코인…5만9000달러 터치 [Bit코인]
  • "대지진 14일에 발생한다고?"…日서 발견된 구름에 '괴담'까지 확산
  • “이란, 24시간 내로 이스라엘 공격할 수도”
  • 오늘의 상승종목

  • 08.13 13:2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591,000
    • +0.55%
    • 이더리움
    • 3,708,000
    • +3.95%
    • 비트코인 캐시
    • 485,900
    • +3.43%
    • 리플
    • 790
    • -0.13%
    • 솔라나
    • 201,400
    • -0.35%
    • 에이다
    • 469
    • +0.64%
    • 이오스
    • 691
    • +3.75%
    • 트론
    • 176
    • -2.22%
    • 스텔라루멘
    • 137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900
    • +3.88%
    • 체인링크
    • 14,430
    • +1.62%
    • 샌드박스
    • 361
    • +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