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통일 논의 국민대통합 심포지엄 개최

입력 2014-03-11 16: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 전경련은 11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다이아몬드홀에서 통일 분야 전문가를 초청하여 '국민대통합 심포지엄 : 한반도 통일, 과연 대박인가'를 개최, 회의에 앞서 한광옥 국민대통합 위원회 위원장(사진 왼쪽에서 다섯번째),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왼쪽 여섯번째)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 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한반도 통일에 대한 경제계의 저변 확대에 나섰다.

전경련은 11일 여의도 컨퍼런스센터에서 통일 분야 전문가를 초청해 ‘국민대통합 심포지엄: 한반도 통일, 과연 대박인가’를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국민 모두가 함께 통일을 만들어가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통일비용 부담에 대한 사회적 합의 필요성과 편익을 높여갈 방안 등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아울러 통일이 대박이 되기 위해서는 남북 간 통합에 앞서 우리 국민의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국민대통합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현대경제연구원 홍순직 수석연구위원은 ‘통일의 혜택과 미래상’ 주제 발표를 통해 “통일이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급락과 외풍 구조에 취약한 구조적 문제 등에 대한 해결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지속 발전 가능한 신성장동력 확보, 내수비중 확대를 통한 안정적 성장구조 모형을 제시할 대안으로 통일을 해석한 것. 더불어 내수의 절반을 북한 광물자원으로 조달하면 연간 154억 달러의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임을출 교수 역시 통일로 인해 우리 기업들의 새로운 투자처가 생길 것이라 전망했다. 특히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에 따른 건설 물량이 약 60조원에 이르고, 해외 진출기업의 유턴(U-Turn)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북아시아의 전략적 요충지를 확보하는 다양한 경제적 이점을 언급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윤덕룡 선임연구위원은 독일 통일 당시 통일비용 증가 원인을 경제통합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사회보장 제공과 노동시장 격차 해소 등으로 진단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통일 이전에 생산성 격차를 해소할 선행 투자와 통일 후 한시적인 남북한 노동시장 분리 방안을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요아정은 ‘마라탕과’일까 ‘탕후루과’일까? [해시태그]
  • 최강야구보다 '더 강력한' 야구 온다…'전설의 무대' 한일 드림 플레이어즈 [이슈크래커]
  • “재밌으면 당장 사”…MZ 지갑 여는 마법의 이것 [진화하는 펀슈머 트렌드]
  • "하늘 뚫린 줄" 새벽부터 물폭탄 쏟아진 수도권…기상청 "오후에도 70㎜ 이상 강한 비"
  • [종합] 뉴욕증시, 기술주 급락에 나스닥 ‘최악의 날’...다우는 4만1000선 돌파
  • 데이트 비용, 얼마나 쓰고 누가 더 낼까 [데이터클립]
  • 단독 산업은행, 아시아지역본부 없앴다...해외진출 전략 변화
  • NH투자증권 "체코 원전…한전기술·두산에너빌리티·대우건설 수혜"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10: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151,000
    • -1.94%
    • 이더리움
    • 4,777,000
    • -2.35%
    • 비트코인 캐시
    • 530,000
    • -4.07%
    • 리플
    • 863
    • +6.15%
    • 솔라나
    • 221,300
    • -2.68%
    • 에이다
    • 617
    • -0.96%
    • 이오스
    • 851
    • +0.12%
    • 트론
    • 187
    • -0.53%
    • 스텔라루멘
    • 152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850
    • -1.54%
    • 체인링크
    • 19,490
    • -3.13%
    • 샌드박스
    • 480
    • +0.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