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쌍용건설’ 워크아웃 난기류

입력 2013-05-29 15: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당국 압박에도 채권단 지원 난색

쌍용건설 워크아웃(재무구조 개선작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채권단들이 난색을 표하며 차일피일 결정을 미루고 있다. 금융당국의 지원 압박도 이젠 먹혀들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주 채권단의 쌍용건설 워크아웃 결의가 지연되자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현재 채권단은 신규로 지원해야 할 거액의 자금에 비해 실익이 떨어진다는 판단에 워크아웃에 부정적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주요 채권은행은 이달 말 일제히 워크아웃에 대한 찬반을 결정키로 했지만, 일부에선 워크아웃을 부결시키고 법정관리로 가자는 기류도 감지되고 있다.

쌍용건설 채권은행들은 이번 주 여신정책회의를 열어 1070억원의 출자전환과 4450억원의 신규 자금지원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계획이다. 채권단은 이미 쌍용건설에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매입과 출자전환 등으로 3700억원을 지원했다. 2400억원의 신규 해외 지급보증도 논의되고 있다. 여기에 추가 출자전환과 유동성 공급을 더하면 1조16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이 들어간다. 기존 채권 1조3000억원에 맞먹는 규모다.

채권을 주식으로 바꾸는 출자전환이 부결되면 신규 자금지원도 이뤄지지 않아 쌍용건설의 워크아웃은 끝내 불발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출자전환·자금지원과 관련해 “아직 채권은행 단 한 곳에서도 동의서가 접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당초 지난 16일까지 동의 여부를 결정해 알려 달라고 제안했지만, 주요 채권 은행들이 모두 결정을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은행은 지난 28일 여신위원회를 열고 쌍용건설에 대한 자금 지원 여부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오는 30일 회의를 여는 하나은행 역시 실무진 차원에선 워크아웃에 회의적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채권단은 지난 3월 워크아웃을 결정하면서 추가 자금 지원 여부는 3개월간 실사를 진행한 뒤 논의키로 했다. 실사 결과는 생각보다 심각했다. 기업을 청산하지 않고 존속시키는 것이 채권 회수에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왔지만, 채권단은 건설업 경기 침체 등을 이유로 추가 지원을 망설이고 있다.

채권은행 관계자는 “지난주 금융감독원이 소집한 부행장 회의에서도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며 “쌍용건설 지원에는 불합리한 부분이 너무 많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 공급망 확보 뛰어들었지만...한계도 뚜렷 [기후가 삼킨 글로벌 공급망]
  • "이러다 다 죽어"…'불법 사이트' 전쟁 선포한 기업들 [K웹툰 국부 유출下]
  • "따로, 또 같이"…활동반경 넓힌 블랙핑크, 다음 챕터는? [이슈크래커]
  • 단독 군, 안전불감...내진설계 반영 탄약고 고작 19% [2024 국감]
  • 시중은행도 예·적금 금리 인하…'자금 대이동' 시작되나
  • 야구선수 오재원 '필로폰 수수' 추가기소 1심서 징역형 집행유예
  • 악플러 고통 호소했던 제시의 2차 사과문 "수천 번 수만 번 후회"
  • SK하이닉스, 매출ㆍ영업이익ㆍ순이익 '역대 최대'… HBM 왕좌 입증
  • 오늘의 상승종목

  • 10.24 12: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036,000
    • +0.48%
    • 이더리움
    • 3,526,000
    • -2.27%
    • 비트코인 캐시
    • 492,400
    • +0.74%
    • 리플
    • 731
    • -0.54%
    • 솔라나
    • 241,300
    • +5.33%
    • 에이다
    • 489
    • -2.59%
    • 이오스
    • 651
    • -2.11%
    • 트론
    • 224
    • +0.9%
    • 스텔라루멘
    • 133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650
    • -0.3%
    • 체인링크
    • 15,810
    • -2.83%
    • 샌드박스
    • 367
    • -3.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