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한화, 하이마트 등 주요 상장사들이 상장폐지의 기로에 선 적이 있다.
하지만 이들 모두 극적으로 상장폐지만은 모면할 수 있었다. 때문에 당시에 투자자 손실을 우려한 감독당국이 솜방망이 처벌을 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기도 했다.
지난 2월 한화는 김승연 회장의 횡령배임으로 상장폐지 위기에 내몰렸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10대 기업 계열사 가운데 첫번째 상장폐지 사례가 될 것인가에 세간의 관심이 쏠렸지만 실질심사결과 상장폐지를 피할 수 있었다.
하이마트 역시 회사 경영진들이 1000억원이 넘는 배임횡령 혐의로 수사를 받으면서 상장폐지 논란에 휩싸였었다. 한화가 경영진의 횡령배임 혐의로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에 오른지 얼마 지나지 않아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욱 숨을 죽였다.
경영진이 1000억원 이상의 회삿돈과 개인자산을 투자금 명목으로 국외로 빼돌린 것으로 알려지면서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커졌고, 퇴출 공포 역시 확산됐지만 상장폐지까지 가지 않았다.
당시 한국거래소는 영업의 지속성, 재무구조 안정성, 경영 투명성, 투자자 보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이들 상장사의 상장폐지를 결정치 않았다. 여기에는 상장폐지에 따른 주식시장 충격도 감안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금 상황도 당시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증권가의 시각이다.
우선 한화와 하이마트 상장폐지 논란이 불거졌을 당시와 비교할 때 증시 상황이 좋지 않다. 당시 1950포인트에서 2000선을 넘나들던 코스피지수는 현재 1900선에 턱걸이하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남해화학의 소액주주는 2만8709명으로 보유지분율은 40.52%에 달한다. 상장폐지시 소액주주의 극심한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감독당국도 상장폐지를 쉽게 결정키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전현직 경영진이 연루됐던 앞선 배임횡령 사건과 달리 남해화학 사건은 직원 소행으로 확인된 점도 고려 대상이다.
다만 내부통제 부실로 배임횡령이 발생한데다 주권매매거래가 정지되고 한국거래소가 상장폐지 대상 여부 결정을 위한 조사에 착수한 점에 미뤄 거래가 재개된다고 해도 단기 주가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관측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