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정상회의 성장전략·무역자유화 촉진...오늘 폐막

입력 2010-11-14 11: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日 APEC 뒷전...영토외교·美동맹에 쏠려

일본 요코하마에서 이틀간의 일정으로 열리고 있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역내 성장전략과 무역자유화 촉진 방안을 담은 정상 성명(요코하마 비전)을 발표하고 14일 오후 폐막한다.

의장국인 일본의 간 나오토 총리를 비롯해 이명박 대통령,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등 21개 국가·지역 정상이 참석한 이번 회의는 13일 성장전략을 토의한데 이어 이날은 역내 경제통합과 보호무역주의 배격 등을 집중 논의한다.

13일 협의에서는 경제 불균형 시정과 환경대책 등 5개항을 중심으로 APEC 초유의 역내 성장전략을 정리하고 오는 2015년까지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미국,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과 중국 등 신흥국간 이견으로 성장전략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치목표에 대한 합의안을 도출되지 못했다.

14일엔 역내 경제통합구상인 '아시아태평양자유무역지역(FTAAP)' 실현을 위한 방법으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한중일', 여기에 인도 호주 뉴질랜드를 합한 '아세안+6' 등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한다.

또 보호무역주의 억제책으로 새로운 보호무역 조치의 금지를 향후 3년간 연장하는 한편 현재 답보상태에 있는 세계무역기구(WTO)의 '도하개발 어젠다' 협상 가속화도 결의할 계획이다.

정상들은 이날까지 한 논의 결과를 정리한 정상 성명을 '요코하마 비전'으로 발표한 뒤 이틀 일정을 종료한다.

APEC은 지난 1989년 호주 캔버라에서 미국 일본 캐나다 등 12개국의 각료회의로 출범한 뒤 1993년 정상회의로 격상됐으며 현재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19개국을 포함해 모두 21개 국가·지역이 참여하고 있다.

한편 의장국인 일본의 관심은 온통 영토 분쟁을 빚고 있는 중국·러시아와의 외교관계 복원, 미국과의 동맹강화에 올인하는 모습이다.

APEC의 존재 이유인 역내 경제통합과 성장전략 문제는 뒷전으로 밀려 주목받지 못했다. 일본 언론도 APEC의 현안보다 미·중·러와의 외교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구로역에서 작업 중 코레일 직원 3명 사상… 국토부, 철저 조사해 재발방지
  • 방시혁 측 "BJ 과즙세연, LA 관광지 묻길래 안내한 것"…포착된 계기는?
  • 태권도 김유진, 세계 1·2위 꺾고 57㎏급 우승…16년 만의 쾌거 [파리올림픽]
  • 미국 젠지 열광한 '원사이즈' 옷 가게, 한국서도 성공할까? [솔드아웃]
  • 킥보드냐 스쿠터냐…BTS 슈가가 받게 될 ‘음주운전 처벌’은? [해시태그]
  • 판매대금 지연·빼가기가 관행? 구영배 근자감이 火 자초 [제2의 티메프 사태 막자]
  • 에스파→염정아 이어 임영웅까지…이들이 '촌스러움'을 즐기는 이유 [이슈크래커]
  • 커지는 전기차 포비아…화재 보상 사각지대 해소는 '깜깜이'
  • 오늘의 상승종목

  • 08.09 09: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342,000
    • +10.62%
    • 이더리움
    • 3,760,000
    • +13.73%
    • 비트코인 캐시
    • 497,200
    • +12.67%
    • 리플
    • 863
    • +3.85%
    • 솔라나
    • 228,100
    • +12.36%
    • 에이다
    • 493
    • +7.88%
    • 이오스
    • 684
    • +8.4%
    • 트론
    • 178
    • +0%
    • 스텔라루멘
    • 143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550
    • +15.05%
    • 체인링크
    • 15,010
    • +12.27%
    • 샌드박스
    • 373
    • +11.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