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방식의 줄기세포 재생 기전 밝혀져

입력 2009-07-21 17: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톨릭중앙의료원 “줄기세포 주변의 둥지가 줄기세포의 재생력 조절”

줄기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새로운 방식의 기전이 밝혀져 관련 학계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기능성세포치료센터 오일환 교수(사진)팀은 줄기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줄기세포의 둥지(niche)가 줄기세포의 재생력을 조절하는 결정적인 인자라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줄기세포 활성화 인자로 이미 잘 알려진 ‘WNT’가 줄기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해 세포를 활성화 하는 것이 아니라, 줄기세포를 둘러싼 둥지를 자극하며 둥지세포와 줄기세포간의 미세한 상호교류를 통해 세포가 활성화 된다고 말했다.

세계 학계는 혈액줄기세포를 비롯한 줄기세포의 성장인자로 알려진 'WNT'의 작용 기전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북미주 학자들과 유럽계 학자들은 'WNT'의 작용 기전에 대해 서로 상반된 견해를 보이고 있는데, 북미주 학자들은 'WNT'가 줄기세포 재생에 촉진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유럽계 학자들은 억제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에 맞서왔다.

이러한 논쟁 가운데 오일환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WNT’ 신호의 매개체인 베타카테닌의 작용이 조혈줄기세포를 직접 자극할 때에는 줄기세포 활성이 억제되지만, 줄기세포를 둘러싼 둥지를 자극할 때에는 줄기세포의 활성이 촉진됨을 밝혀낸 것이다.

병원 관계자는 "이는 그 동안 북미와 유럽 학계의 의견 대립이 새로운 관점에서 과학적으로 해결된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골수의 줄기세포와 주변의 둥지세포 사이에서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미세한 상호교류 신호를 발견했으며, 이 기전을 이용해 둥지세포가 줄기세포를 활성화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줄기세포 자체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던 재생촉진기술과 달리 줄기세포 둥지를 통해 활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줄기세포 재생기술로 활용될 예정이며, 이러한 새로운 기술은 현재 세계 특허 출원 중이다.

한편, 복지부의 기능성 세포치료제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의 결과는 줄기세포 분야의 권위적인 학술지인 ‘Stem Cells’ 6월호에 발표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56년의 대장정…현대차 글로벌 누적생산 1억 대 돌파
  • '연봉 7000만 원' 벌어야 결혼 성공?…실제 근로자 연봉과 비교해보니 [그래픽 스토리]
  • 테슬라 주가 연초 수준 복구...이차전지 회복 신호탄 될까
  • 신작 성적 따라 등락 오가는 게임주…"하반기·내년 신작 모멘텀 주목"
  • '5000원' 백반집에 감동도 잠시…어김없이 소환된 광장시장 '바가지'? [이슈크래커]
  • '시청역 역주행' 사고 운전자 체포영장 기각된 까닭
  • '나는 솔로' 이상의 도파민…영화 넘어 연프까지 진출한 '무당들'? [이슈크래커]
  • 임영웅, 광고계도 휩쓸었네…이정재·변우석 꺾고 광고모델 브랜드평판 1위
  • 오늘의 상승종목

  • 07.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697,000
    • -4.34%
    • 이더리움
    • 4,483,000
    • -5.02%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5.38%
    • 리플
    • 642
    • -6%
    • 솔라나
    • 192,000
    • -7.16%
    • 에이다
    • 559
    • -4.61%
    • 이오스
    • 770
    • -6.1%
    • 트론
    • 182
    • -0.55%
    • 스텔라루멘
    • 127
    • -3.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050
    • -8.86%
    • 체인링크
    • 18,730
    • -8.28%
    • 샌드박스
    • 426
    • -7.79%
* 24시간 변동률 기준